
서울시는 지난 1월부터 6월까지 서울시전자상거래센터에 접수된 소비자 피해상담을 분석한 결과 총 10522건으로 전년도 동기간 6118건에 비해 피해가 72% 늘었다고 30일 밝혔다.
구매유형을 살펴보면 먼저 일반 인터넷쇼핑몰 피해가 5205건(49.5%)으로 가장 많았으며, 작년 상반기 476건(7.8%)에 불과했던 해외거래 관련 피해가 올해는 3898건(37.0%)으로 약 8.2배 늘었다.
그 뒤는 오픈마켓(607건(5.8%)), 소셜마케팅(178건(1.7%)), 인터넷 공동구매(156건(1.5%))의 순이었다.
특히 저렴한 가격과 국내에서 구하기 어려운 제품을 살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 해외거래의 경우, 해외 쇼핑몰 특성상 거래조건이 다양하고 청약 철회 등의 방법이 국내와는 달라 소비자 피해가 크게 는 것으로 분석됐다.
세부적인 해외구매 피해유형은 ▲구매대행 98.54%(3,841건) ▲배송대행 29건(0.74%) ▲직접구매가 28건(0.72%)이었다.
피해유형은 계약취소에 따른 반품·환급거절이 5054건(48.0%)으로 최다였고, 배송지연이 3374건(32.1%), 운영중단·폐쇄 등에 따른 연락불가가 728건(6.9%), 제품불량 및 하자 피해가 567건(5.4%)이었다. 특히 계약 취소에 따른 반품·환급 거절에 대한 소비자 불만은 전년도 2145건에서 5054건으로, 배송지연에 대한 불만은 1204건에서 3374건으로 대폭 늘었다.
해외구매대행이 늘면서 판매자가 해외 사업자인 점을 악용해 반품·환불을 거부하거나 반품 시 과도한 배송비나 위약금(취소 수수료)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아진 것도 반품‧환급거절 증가의 큰 요인으로 꼽힌다.
피해품목으로는 의류·속옷이 5123건(48.7%), 신발·가방 등 패션잡화 및 귀금속이 2691건(25.6%)으로 패션 관련 품목이 70%이상을 차지했고, 아동용완구가 3.6%(374건), 가구·주방 잡화가 3.2%(332건)이었다. 이 또한 해외구매의 대부분이 해외브랜드 의류나 신발 등 패션제품이라 관련 소비자 피해도 증가한 것으로 분석된다.
피해연령대는 10대 480건(4.6%), 20대 4200건(39.9%), 30대 4210건(40.0%), 40대 1323건(12.6%)이였는데 해외거래 주 소비자층인 10대는 93.5%, 20대는 82.2%의 피해 증가율을 보였다.
한편 소비자 피해 접수가 큰 폭으로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사기·편취로 인한 소비자불만은 전년도 502건에서 119건으로 76.29%, 허위·과장광고로 인한 피해는 107건에서 35건으로 67.29%, 연락불가로 인한 피해는 1,137건에서 728건으로 35.97% 감소했다. 이는 전자상거래센터의 꾸준하고 적극적인 피해구제와 소비자 권익에 대한 인식개선의 결과로 평가된다.
인터넷 쇼핑몰을 이용하다 피해를 입었을 경우에는 서울시전자상거래센터나 서울시 민생침해 신고시스템 ‘눈물 그만’과 다산콜센터로 신고하면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장영민 서울시 민생경제과장은 “해외구매가 급증하면서 피해 또한 늘고 있다”며 “인터넷 쇼핑몰 이용 시에는 이용안내나 상품 상세화면에 공지된 교환․반품 규정을 반드시 확인한 후 상품을 배송 받은 날로부터 7일 이내 교환․반품 신청이 안 되는 인터넷 쇼핑몰은 이용하지 않는 것이 피해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이며, 계좌이체보다는 신용카드나 에스크로 등 구매안전서비스를 이용해 결제를 하는 것이 피해구제에 용이할 수 있다”고 말했다. [시사포커스 / 민경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