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로봇연구단 박정민 박사팀이 여러 인원이 가상현실 속에서 하나의 가상물체를 실물처럼 맨손으로 만지고 조작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해 한국과 미국에 특허 등록을 마쳤다고 4일 밝혔다.
이러한 기술처럼 하나의 가상공간을 여러 명이 공유하면서 가상현실 속 물체를 보고 만지고 움직이려면, 실제 현실에 있는 사람의 움직임이나 조작을 가상현실 속 물체의 반응과 일치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박 박사는“현실공간과 가상공간을 하나로 일치시키는 기술, 즉 정합기술이 핵심”이라고 말했다.
이번에 박 박사팀이 개발한 것은 기존에 개발된 마이크로소프트의 미라지테이블(MirageTable)이나 홀로데스크(Holodesk)와 다르게 가정용으로 쓰이는 3차원(3D) TV와 키넥트 센서(동작인식 센서), 거울 등의 장비만을 활용해 현실공간과 가상공간을 정합시키는 기술을 개발한 것이다.
박 박사는 “사람의 움직임을 인식하는 센서 좌표계와 가상현실을 보여주는 디스플레이 좌표계가 다른데 거울이란 매개를 통해 이 둘을 한 좌표계로 통합·변환시키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설명했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 결과가 체험형 교육·훈련이나 3D 인터랙티브 광고와 신문 같은 각 종 3D 인쇄물 등과 가상체험 전시·안내물, 의료용 시뮬레이터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박 박사는 이번 기술이 산업용 뿐 아니라 일반용으로도 다양한 서비스 창출이 가능할 것이라고 전했으며, 특히 가상과 실제의 오차를 줄이고 기존 MS의 기술에 비해 2,3배 정도 더 넓은 공간에서 가상물체를 조작할 수 있는 특징을 가졌다고 설명했다.
이 연구는 미래창조과학부의 글로벌 프론티어 사업 지원으로 이뤄졌으며 현재 일본에도 특허가 출원돼 있고 한 단계 업그레이드된 기술도 국내에 특허 출원을 하며 기술력을 인정받았다. [시사포커스 / 김유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