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와대는 11일 북한군의 비무장지대(DMZ) 목함지뢰 도발과 관련, 북한의 사죄와 책임자 처벌을 촉구했다.
민경욱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이번 사건은 북한군이 군사분계선을 불법으로 침범해 목함지뢰를 의도적으로 매설한 명백한 도발”이라고 비판했다.
민 대변인은 이어 “북한의 도발행위는 정전협정과 남북간 불가침 합의를 정면으로 위반한 것으로서 우리는 북한이 이번 도발에 대해 사죄하고 책임자를 처벌할 것을 엄중히 촉구한다”고 말했다.
앞서 전날(10일) 국방부는 “4일 오전 경기도 파주시 군사분계선 남쪽 비무장지대에서 정상적인 수색작전 중이던 우리측 장병 2명이 북한군이 매설한 것으로 확실시되는 북한 지뢰에 의해 심각한 부상을 입는 사건이 발생했다”고 밝혔다.
특히, 조사단은 사건 현장 지형이 남쪽이 북쪽보다 높아 북쪽에서 지뢰가 유실됐을 가능성은 희박하며, 우리 장병이 드나드는 철책선 출입문(통문) 인근에 지뢰가 매설돼 있었던 점 등을 종합해보면 북한군이 의도적으로 매설한 지뢰라고 설명했다.
민 대변인은 “정부는 북한의 DMZ(비무장지대) 지뢰도발 사건을 엄중히 고려해 지난 8일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회를 개최했다”고 전했다. 그는 “이날 회의에서는 국방부의 사건조사 결과를 보고받고 대응방안을 논의했다”고 설명했다.
당시 NSC 상임위를 열고도 별다른 대응방안을 찾지 못했다는 언론보도에 대해선 “사실과 다르다”며 “종합대책을 강구했다”고 강조했다. 그는 “(지뢰 매설이) 북한의 소행이란 추후 보고가 국방부가 아닌 국가정보원을 통해 이뤄졌다는 내용도 사실이 아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