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서 치료 못 받은 환자 마지막으로 살려내

삼성서울병원이 조양현 교수팀이 말기 심부전증 환자에게 ‘3세대 인공심장’이식 수술에 성공했다고 11일 병원 측이 밝혔다.
병원 측은 삼성서울병원 조양현 교수팀이 3세대 인공심장(LVAD·좌심실 보조장치)을 말기 심부전증 환자인 A씨(62·여)에게 이식하는 데 성공했으며, 작년에 식약처 허가를 받은 LVAD를 환자 치료에 성공한 사례는 국내에서 이번이 처음이라고 설명했다.
LVAD이식 수술을 받은 환자는 미국 거주자이며, 현지에서 관상동맥우회술, 인공심장박동기 시술과 같은 다양한 치료를 받았으나 나아지지 않았다. 그러던 중 생애 마지막을 앞두고 고국인 한국을 찾았다가 급성심근경색으로 쓰러져 병원에 이송되어 왔다.
심장 이식이 시급한 상황이었지만, 국내법에 따라 국내에 1년 이상 체류해야 심장 이식을 받을 수 있었다. 그러나 인공심장 이식 수술은 이 같은 제한을 받지 않는다.
조양현 교수는 “말기 심부전으로 심장이식을 대기하고 있거나 심장 이식을 받기 어려운 환자들이 인공심장 이식의 대상이 된다”고 설명했다.
몸 바깥에 장착하는 형태인 1세대 인공 보조심장과 달리 2세대는 몸 안에서 삽입하는 방식이지만 크기가 크다는 단점이 있었는데 3세대는 이러한 단점을 보완해 2세대보다 크기가 작고, 감염, 혈전증,출혈 등 이전 세대 인공심장장치의 부작용을 최소화했다.
비디오테이프 크기의 휴대형 리튬이온배터리로 LVAD 제품이 작동이 되기 때문에 환자는 배터리를 늘 몸에 부착하고 다녀야 한다. [시사포커스 / 김유빈 기자]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