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정현 “아군 진지에 설탄 쏴선 안돼”…유승민 겨냥?
이정현 “아군 진지에 설탄 쏴선 안돼”…유승민 겨냥?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격분된 발언으로 군 사기 저하시키고 전력 약화시켜”
▲ 새누리당 이정현 최고위원은 13일 북한의 비무장지대(DMZ) 목함지뢰 도발 사건에 대해 정치권에서 정부 책임론이 제기되고 있는 것과 관련 “지금은 아군 진지에 혀로 쓰는 탄환인 설탄을 쏴서는 안된다”고 비판했다. 사진 / 홍금표 기자

새누리당 이정현 최고위원은 13일 북한의 비무장지대(DMZ) 목함지뢰 도발 사건에 대해 정치권에서 정부 책임론이 제기되고 있는 것과 관련 “지금은 아군 진지에 혀로 쓰는 탄환인 설탄을 쏴서는 안된다”고 비판했다.

이 최고위원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당 최고위원회의에서 “정치권이 견제하고 비판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매사에 때가 있는 것으로서 격분된 발언으로 군의 사기를 저하시키고 매도하고, 의구심을 증폭하는 것은 군의 전력을 약화시킨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최고위원은 또 “군 자체에서 조사가 진행 중 일 때는 아직 결론이 나지 않은 상태이므로 오래 계획된 정부 일정은 그것대로 진행하는 게 상식이고 기본”이라면서 “지금은 북한의 도발이라는 확신이 섰고, 전군이 비상상황에서 여러 형태의 응징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정치권이 감성적으로 우리 군을 이렇게 해야 할 아무런 이유가 없다”며 “때를 기다려서 잘못된 부분은 철저하게 지적하고 책임을 물을 게 있으면 묻고, 보완할 게 있으면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최고위원의 발언은 전날 국회 국방위원회에서 자당 소속 유승민 의원을 비롯한 일부 의원들이 군 당국의 늑장 보고, 청와대의 컨트롤 타워로서의 기능이 미진했던 점을 질타한 것을 언급한 것으로 보인다.

앞서, 유 의원은 전날 한민구 국방부 장관이 참석한 국회 국방위원회 전체회의에서 “북한 목함지뢰 사건이 난 다음날인 8월 5일 대통령께서는 경원선 기공식에 참석하고 이희호 여사는 평양을 가고 우리 정부는 통일부장관 명의로 남북고위급회담을 제안하는 등 이 세가지 사건이 함께 벌어졌다”며 “그 전날 지뢰사고가 터졌는데 그 다음날 이런 사건들이 있었다”고 지적했다.

유 의원은 이어 “또 군의 현장조사는 8월6일에 이뤄진다”며 “이거 이상한 것 아니냐”고 의문을 제기했다.

특히 “그런데 왜 통일부 장관은 (북한에) 남북고위급회담을 제안했느냐”면서 “이게 우리 군과 통일부하고 서로 전화 한 통도 안하느냐”고 정부 부처간 엇박자를 질타했다.

뿐만 아니라 “이거 정신나간 것 아니냐”면서 “청와대 NSC라는 사람들은 도대체 뭘하는 사람들이기에 도발 사실을 알았으면 그 즉시 논의를 해야지. NSC는 사건 발생 나흘만인 8월8일 열렸다. 보복 시점도 다 놓쳤다”고 성토했다.

아울러 국방부가 ‘혹독한 대가’를 치르게 해주겠다면서 대북심리전 방송 재개 조치를 취한 것에 대해서도 “이게 혹독한 대가의 전부냐”며 “확성기 방송 재개를 혹독한 대가라고 생각하는 국민이 있겠느냐”고 비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