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 혁신위, 최고위 대체 ‘대표위원회’ 구성방안 발표
새정치 혁신위, 최고위 대체 ‘대표위원회’ 구성방안 발표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상곤, 안철수 등 겨냥 “혁신위 흔들고 혁신안 바꾸려는 의도”
▲ 새정치민주연합 혁신위원회는 4일 현재 당의 지도체제인 최고위원회를 ‘대표위원회’로 대체하는 혁신안을 발표했다. 사진 / 홍금표 기자
새정치민주연합 혁신위원회는 4일 현재 당의 지도체제인 최고위원회를 ‘대표위원회’로 대체하는 혁신안을 발표했다.
 
새정치연합 김상곤 혁신위원장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계파 패권과 갈등을 일소하고 20대 총선 승리를 위해 현재 과두적 최고위원제에서 민주적 대의지도체제로 전환한다”며 지역·직능별 대표로 구성된 ‘대표위원회’를 골자로 한 9차 혁신안을 발표했다.
 
혁신안에 따르면 새로운 대표위원회는 당 대표와 원내대표를 비롯, 5명의 지역대표와 4명의 직능대표 등 총 11명으로 구성된다.
 
지역대표는 전국을 5개 권역(서울·제주, 경기·인천, 강원·충청, 호남, 영남)으로 나누고 각 권역의 시·도당 위원장 중에서 뽑으며 직능대표는 여성·청년·노동·민생 분야 별로 당 전국위원회에서 선출한다.
 
혁신위가 이날 제안한 새로운 제도체제는 총선 후 열릴 전당대회부터 적용될 예정이다.
 
또한 당내 최고 의결기구인 당무위원회의 당연직을 줄이는 대신 선출직을 최대로 늘려 민주적 대의체제를 강화하기로 했다.
 
현행 당무위원회는 100인 이하였지만 앞으로는 50인 이하로 구성하되 국회부의장, 국회상임위원회위원장, 5본부장 등은 당연직은 배제하고 시·도당위원장, 시·도지사협의회 대표, 광역의회의원협의회 대표, 기초의회의원협의회 대표, 원외지역위원장협의기구 대표 등 선출직으로 구성하도록 했다.
 
또한 혁신안에는 국회 특수활동비를 현금이 아닌 카드로 제공, 투명성을 높이고, 선거 개표 논란을 차단하기 위해 수개표 원칙을 적용할 것을 요구했다.
 
이와 함께 선거연령을 만 18세로 낮추는 등의 정치개혁안도 포함됐다.
 
한편, 김상곤 위원장은 최근 당내 비주류에서 혁신위를 비판하고 있는 것과 관련, “지금 우리당은 다시 분열의 내홍에 휩싸이려는 조짐을 보이고 있다”며 “혁신위를 흔들고 혁신안을 바꾸려는 의도에 대해 혁신위원회는 강력히 경고한다”고 말했다.
 
안철수·김한길 전 공동대표, 박영선 전 원내대표 등이 혁신위 활동에 대해 잇달아 부정적 평가를 내놓은 데 대한 반박인 셈이다.
 
김 위워장은 “계파는 국민을 이길 수 없고 기득권은 국민의 권력을 넘어설 수 없다”면서 “각 계파들은 당을 조각내고 있었고 국민이 준 권력은 기득권을 향해 있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지금도 당을 책임졌던 사람들이 혁신의 반대편에서 자신의 기득권, 자신의 정치를 위해 분열을 조장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나아가 “당의 기강은 무너졌고 국민과 당원은 우리당에 등을 돌렸다”며 “책임지지 않는 사람, 국민과 당원이 아닌 계파와 기득권을 위했던 사람들이 지도부에 있었기에 우리당이 지금 혁신의 수술대 위에 있는 것”이라고 날을 세웄다.
 
뿐만 아니라 “심지어 당의 이름으로 열매를 따 먹고 철새처럼 날아가려는 사람도 있다”고도 했다. 최근 탈당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박주선 의원 등을 질타한 것이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