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준호 전 우정사업본부장, 3대 자율규제위원장 선임

25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전날 오후 3시에 열린 임시총회에서는 제3대 자율규제위원장으로 미래창조과학부 우정사업본부 본부장 출신인 김준호 전 본부장이 선임됐다. 이로써 박원호 위원장이 연초 퇴임한 후 7개월 가량 비워졌던 자율규제위원장 자리는 주인을 찾게 됐다.
앞서 논란이 일자 한 차례 결정을 미뤘던 후보추천위원회는 나흘 전 김준호 전 본부장을 단독 후보로 상정한 바 있다. 고심을 거듭한 황영기 회장은 결국 김준호 전 본부장의 선임을 선택했다. 총회에 앞서 161개 회원사의 절반 가량이 협회에 투표 권한을 위임해 이날 총회에서는 공식 투표 절차 없이 현장에 참석한 주주 40여명의 찬성 동의와 제청으로 선임안이 가결된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투자업계의 자율적인 규제를 담당하는 자율규제위원회의 수장인 자율규제위원장은 사실상 금융투자협회의 2인자로 불린다. 증권사 및 자산운용사의 위법행위를 조사하거나 자율분쟁조정 업무를 총괄하는 자리다. 연봉만 2억원이 넘고 성과급도 최대 1억원에 달하며 임기도 3년이다.
그만큼 전문적인 지식과 경험이 필요하지만 김준호 전 본부장이 내정됐다는 소식이 들리면서 낙하산 논란은 물론 자질 논란까지 일었다. 금융투자업계의 경력과 전문성이 부족할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이 같은 논란은 결국 국정감사에서 “기획재정부가 미래부의 다른 자리에 퇴직 공무원을 앉히기로 약속받은 것 아니냐”는 의혹까지 제기되는 원인이 됐다.
반면 우정사업본부가 예금 및 보험 등의 대부분을 증권사의 자산운용 프로그램에 맡긴다는 점을 들어 김준호 전 본부장의 전문성이 지나치게 떨어진다는 의견에는 동의하기 힘들다는 반론도 제기된다. 또한 금융투자업계 사람이 아니기 때문에 소신을 갖고 자율규제업무를 추진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준호 신임 자율규제위원장은 2018년 9월까지 업무를 수행하게 된다. [ 시사포커스 / 김종백 기자 ]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