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투협, 낙하산 논란 가중…후보추천위·총회 연기
금투협, 낙하산 논란 가중…후보추천위·총회 연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후보추천위, 김준호 전 본부장에 경력·전문성 의문 제기
▲ 금융투자협회는 지난 11일 후보추천위원회를 열었지만 결론을 맺지 못하고 회의를 이달 말로 연기한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투자협회
금융투자협회 자율규제위원장으로 내정된 김준호 전 우정사업본부장의 낙하산 논란이 가중되고 있는 가운데, 후보추천위원회가 결국 연기되는 등 내홍을 겪고 있다.
 
15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투자협회는 전날 신임 자율규제위원장 후보에 대한 사항을 적시하지 않은 채 이사회를 열고 오는 24일 자율규제위원장 선임을 위한 회원총회를 개최키로 했다.
 
앞서 금융투자협회는 지난 11일 후보추천위원회를 열었지만 결론을 맺지 못하고 회의를 연기한 것으로 알려졌다. 위원들은 이 자리에서 김준호 전 본부장에 대한 경력과 전문성에 의문을 제기하며 업무계획 등을 추가로 제출할 것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규정에 따르면 자율규제위원장은 후보추천위원회의 추천을 거쳐야 회원총회에서 선임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후보추천위원회는 내외부 인사 5명으로 구성된다.
 
논란은 국정감사에서도 재연되고 있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새정치민주연합 이상직 의원은 전날 임종룡 금융위원장에게 “금융투자협회 자율규제위원장은 증권·자산운용·선물사 등 회원사들의 위법행위를 조사하고 자율적인 제재 등을 총괄하는 자리인 만큼 절대적으로 전문성이 필요하다”면서 “과연 김준호 전 본부장이 업무를 수행할 전문성이 있는지, 업무와 무관한 인사가 어떤 폐단을 일으킬지 따져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상직 의원은 “금융위가 미래부 1급 퇴직 공무원 자리를 챙겨주는 대가로 미래부의 다른 자리를 보장받은 것 아니냐”며 고위 퇴직자에 대한 정부 부처간의 자리 주고받기에 대한 의혹까지 제개핬다.
 
이 같은 상황은 지난 2월 이후 공석인 상태가 유지되고 있는 자율규제위원장 자리에 금융위원회와 미래창조과학부가 각자 내세운 후보로 물밑 접촉을 유지하다 결국 김준호 전 본부장이 내정되면서 일어났다.
 
김준호 전 본부장은 행시 28회 출신으로 우정사업본부와 방송통신위원회 등 미래부 경력만 있다. 우정사업본부과 예금과 보험 등을 취급하기는 하지만 전문지식이 없는 인사가 중책을 맡는 것은 오히려 역효과라는 반발이 나왔다.
 
가뜩이나 정부나 금융당국의 입김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자리에 경력도 없는 정부 출신 인사가 취임한다는 점에서 금투협은 이번에도 낙하산 인사라는 비판에서 자유롭기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 시사포커스 / 김종백 기자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