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란의 밴 수수료 체계, 개편 요구 확산
논란의 밴 수수료 체계, 개편 요구 확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현대카드-밴사 갈등에 매입·승인 통합 등 대안 제시
▲ 소액 무서명 거래나 스마트폰을 이용한 간편 결제 비중이 증대되면서 카드 결제 업무를 대행하는 밴 수수료 체계 개편 논의가 촉발될 조짐이 감지된다. 사진 / 시사포커스DB
소액 무서명 거래나 스마트폰을 이용한 간편 결제 비중이 증대되면서 카드 결제 업무를 대행하는 밴 수수료 체계 개편 논의가 촉발될 조짐이 감지된다.
 
15일 카드업계 등에 따르면 최근 현대카드와 밴 대리점들 사이에 삼성페이 결제에 대한 전표 수거 수수료를 둘러싼 갈등이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새로운 결제 시스템의 확산으로 인한 밴 수수료 체계 개편 요구가 거세지고 있다.
 
현재 밴 수수료는 크게 승인 비용과 매입 비용으로 나뉜다. 승인 비용은 카드 결제가 승인될 때 이를 대행하는 밴 사들이 받는 수수료다. 전체 밴 수수료의 60% 가량이 승인 비용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나머지 40% 가량이 전표 수거 비용으로 대표되는 매입 비용이다. 전표 수거 업무는 밴 대리점이 카드사를 대신해 진행하는 업무 중 하나로 카드를 부정 사용했는지 등을 판별해 주는 전표의 수거와 저장이 핵심이다. 최근 전자서명으로 교체되면서 종이 전표 외에 밴 대리점은 전자서명 전표 등을 관리하고 있다. 이 전표 수거 비용은 밴 대리점 수익의 35% 가량을 차지한다.
 
하지만 밴 대리점들은 전표 수거 수수료에 가맹점을 관리하는 비용이 포함돼 있기 때문에 전표를 걷지 않는다고 수수료를 주지 않는 것은 부당하다고 항변하고 있다. 매입 비용 관련 수수료에는 카드 조회기나 서명 패드, 포스기 등 카드 결제를 위해 필요한 기기들의 설치와 관리 비용이 포함된다는 얘기다.
 
현대카드의 주장을 예로 들면 삼성페이 이용 고객들은 본인 인증을 스마트폰 자체 내에서 해결해 매출 사고의 위험은 현격히 줄어든다. 하지만 결제 자체는 여전히 기존에 밴 대리점이 깔아 놓은 단말기를 통해 이뤄진다. 관리 역시 밴 대리점이 맡는다. 이에 밴 대리점들은 전표 수거를 하지 않는다고 전표 수거 수수료를 온전히 떼 가는 것에 대한 부당함을 피력하고 있는 셈이다.
 
밴 사들은 무서명 거래 등이 확대되면 매입 업무가 줄어들 것이 확실시되는 만큼 매입과 승인으로 나눠진 수수료를 통합하고 정률제 등 새로운 체계가 필요하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이미 CU와 GS25시 등의 편의점들은 5만원 이하 무서명 결제를 정착시켰고 금융당국은 10만원 이하 무서명 거래의 확산을 추진하고 있다. 삼성페이 등 간편 결제 시스템도 확대 일로를 걷고 있다. 상당수 카드사들도 현대카드의 행동에 공감을 표하고 있는 만큼 수익의 감소가 불가피한 상황이다. [ 시사포커스 / 김종백 기자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