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교안 총리 대국민담화에 대한 정치권 반응은?
황교안 총리 대국민담화에 대한 정치권 반응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與 “국회, 정쟁 늪에서 벗어나야” - 野 “공안사건 판결문 읽는 장면 방불케 해”
▲ 여야는 3일 황교안 국무총리의 역사교과서 국정화 확정고시 관련, 새누리당은 “역사교과서 문제는 집필진에게 맡겨두고, 국회는 교과서를 둘러싼 소모적인 정쟁의 늪에서 벗어나 민생의 길로 나서야 한다”고 주장한 반면, 새정치민주연합은 “공안사건 판결문을 읽는 장면을 방불케 했다”고 꼬집었다. 사진 / 원명국 기자.
여야는 3일 황교안 국무총리의 역사교과서 국정화 확정고시 관련, 대국민담화에 대해 상반된 반응을 드러냈다. 새누리당은 “역사교과서 문제는 집필진에게 맡겨두고, 국회는 교과서를 둘러싼 소모적인 정쟁의 늪에서 벗어나 민생의 길로 나서야 한다”고 주장한 반면, 새정치민주연합은 “공안사건 판결문을 읽는 장면을 방불케 했다”고 꼬집었다.
 
새누리당 김영우 수석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담화문에서 황 국무총리는 현재 학교에서 배우는 역사교과서의 문제점들을 사례를 들어 분명하게 조목조목 설명했다”며 “더 이상 편향된 역사교과서로 우리 아이들을 가르칠 수 없다는 절박함에서였다”고 전했다.
 
김 수석대변인은 이어 “새누리당은 크게 공감하는 바”라며 “이제 역사교과서 문제는 집필진에게 맡겨두고, 국회는 교과서를 둘러싼 소모적인 정쟁의 늪에서 벗어나 민생의 길로 나서야 한다”고 당부했다.
 
김 수석대변인은 또 “지금 야당은 교과서를 핑계로 민생이 아닌 정쟁의 촛불을 높이 들고 있다”며 “2008년 서울 광화문 한복판을 뒤덮었던 광우병 촛불집회의 망령을 다시 불러오려고 하는 것이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또한 “미국산 쇠고기를 먹으면 뇌에 구멍이 송송 난다며 대한민국을 집단최면과 광기로 몰아간 기억이 아직도 생생한데 또다시 한 글자도 쓰여지지 않은 역사교과서를 왜곡시키는 숨은 의도가 무엇이냐”면서 “문재인 대표는 혹시 내년 총선을 의식한 정치선동이 아닌지 묻지 않을 수 없다”고 지적했다.
 
김 수석대변인은 “교과서는 그 어떤 국회의 일정과도 연계되어서는 안 된다”며 “특히 국민의 삶과 직결되는 예산안 심의, 법안처리 등은 야당의 국정 발목잡기에 희생되어서는 결코 안 되는 중차대한 문제”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야당도 진정으로 대한민국의 밝은 미래를 꿈꾼다면 투쟁 대신 민생정치에 매진해야 한다”며 “지금도 역사는 야당의 반(反)의회주의 장외투쟁을 기록하고 있다. 역사 앞에, 우리 아이들 앞에 부끄럽지 않은 야당을 기대한다”고 촉구했다.
 
이에 반해 김성수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박근혜 정권이 국민의 반대를 완전히 무시하고 기어코 역사 교과서 국정화를 확정 고시했다”며 “국민과 역사에 대한 선전 포고”라고 비판했다.
 
김 대변인은 “정부가 확정 고시와 함께 발표한 황교안 총리의 담화문은 역사에 길이 남을 거짓과 궤변으로 일관하고 있다”며 “심지어 편향된 교과서로 역사교육을 받고 있는 지금의 학생들에게 미안하다는 말까지 했다. 자신들의 얼굴에 침을 뱉는 놀라운 자기 부정에 참담함을 금할 수 없다”고 질타했다.
 
김 대변인은 “황교안 총리의 담화문 표현을 그대로 인용하겠다”면서 “성숙한 우리 사회는 (교과서 국정화라는 반역사적 행태를) 결코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같은 당 김정현 수석부대변인도 논평에서 “오늘 황교안 총리의 국정교과서 담화문 발표는 마치 공안사건 판결문을 읽는 장면을 방불케 했다”며 “담화문에서는 이례적으로 도표까지 동원한 것도 과거 공안사건 재판을 연상케 했다”고 비판했다.
 
김 부대변인은 “시종일관 국정교과서 추진에 반대하는 측을 공안사건 피의자 취급하는 태도였다”며 “황교안 총리의 담화문에 따르면 기존 역사교과서 집필진은 공안사건 범죄자며, 국정교과서에 반대하는 사람들은 법정에 서야할지 모를 일”이라고 꼬집었다.
 
김 부대변인은 이어 “국가의 백년대계인 교육문제를 이처럼 공안사건 다루듯 한다면 앞으로 교육현장은 이념대결의 장이 될 것이 뻔하다”면서 “교육의 자율성, 역사에 대한 진지한 성찰이라고는 눈을 씻고 찾아볼래야 찾아볼 수 없을 뿐 아니라 외눈박이 시각에 의한 역사교과서 재단, 오직 국가만이 올바른 역사를 기술할 자격이 있다는 국가주의적 시각, 여기에 반대하면 범죄라는 시각만이 난무한 담화문이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