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연합 내분 사태, 공천권 싸움 그 이상도 이하도 아냐”

김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서 이같이 말하면서 “그동안 우리 정당사는 정체성을 달리하면서도 지역감정을 배경으로 둔 채, 표심에 따라 이합집산 하는 모습을 보여줘 국민들을 실망시키고 정치권 불신을 자초했다”고 비판했다.
김 대표는 이어 “대선과 총선을 앞두고 어김없이 탈당과 분당 사태를 일으켜 온 우리정당사는 이제 누더기가 됐다”면서 “어제 안철수 의원의 탈당으로 야당이 분당의 길로 가는건 아닌지 우리 모두 안타까운 마음”이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야당 내부 사정이야 있겠지만 과거에나 지금이나 총선, 대선을 앞두고 이루어진 탈당과 분당은 대선에서 자기만 옳다는 대선후보 쟁취싸움, 공천권 지분싸움,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고 꼬집었다.
또한 “당내 공천권 싸움은 정치의 후진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당내 분열과 갈등을 막는 최선의 방법은 우리가 당론으로 정한 공천권을 국민에게 돌려드리고 기득권을 포기하는 데 있다”며 “저는 누누이 말하지만 당 대표로서 비례대표 한 석도 추천하지 않겠다”고 재차 약속했다.
김 대표는 이에 앞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선 “안철수 의원의 탈당으로 야당이 분당의 길로 가는 모습을 보이고 있어 정치인으로서 부끄럽고 안타깝다”며 “과거에나 지금이나 대선과 총선을 앞두고 이뤄진 탈당과 분당은 결국 대선 후보 쟁취 싸움이나 당내 공천권 지분 싸움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고 평했다.
특히, 새정치연합 분열 사태를 공천권 싸움으로 규정했다. 그는 “당내 공천권 싸움은 정치적 후진성을 여실히 드러내는 것으로 당내 분열과 갈등을 막는 최선의 방법은 공천권을 내려놓고 기득권을 포기하는 것”이라면서 “국민은 정치 발전과 안정을 학수고대 하면서 국정 안정을 기대하는데 국민에게 분노와 실망만 안겨주는 것 같아 답답하다”고 말했다.
아울러 “야당은 정치를 함께 이끌어가는 파트너인데 야당이 제구실을 못하면 여당은 물론 정치권 전체가 민심의 외면을 받는다”며 “정치인의 의무는 국민 마음을 헤아리고 국민 마음을 얻으려고 노력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