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부, 전파법 개정안 공포
미래부, 전파법 개정안 공포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개정안과 함께 함께 공공용 주파수 수급체계도 마련
▲ 22일 미래창조과학부는 전파법 일부개정안을 국회의결에 거쳐 공포했다. ⓒ미래부
22일 미래창조과학부는 전파법 일부개정안을 국회의결에 거쳐 공포했다. 개정안은 공공용 주파수의 수급체계를 마련하고 위성주파수 양도 및 임대에 대한 승인제도를 도입한다는 내용이다.
 
미래부는 2011년 KT의 무궁화3호 위성 매각과 관련해 주파수 할당 취소 등 행정조치 후 재발방지를 위해 관련 제도를 수정해왔다. 이번 전파법 개정안은 이와 같은 내용을 포함시켰다.
 
각 국가가 이용하는 위성망은 국제전기통신연합(ITU)에 국제등록을 하는데 3년간 사용을 중지하면 국제등록이 삭제되는데, 이번 개정안을 통해 미래부는 위성망 국제등록 유지를 위해 위성망 이용이 중단되지 않도록 이를 이용할 수 있는 권한의 양도, 임대를 허용해 규제를 보다 간편화 했다. 다만 양도, 임대, 이용 중단 시 승인제도를 도입해 위성망 보호를 위한 조건을 부과 가능케 변경했다.
 
미래부는 전파법 개정으로 임의적인 위성망 이용 중단을 사전에 방지해 위성망의 지속적 이용을 가능하게 하고 우주에서 이용하는 주파수자원의 보호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했다.

공공용주파수는 재난, 철도, 도로, 해상, 의료, 교육, 행정 등 다양한 분야에서 국민의 안전과 공공의 이익을 위해 사용되고 중인데, 이번 개정안으로 공공용 주파수의 수급체계도 새로 마련했다.
 
개정 이전 공공용 주파수는 먼저 요구하는 수요를 우선 검토해 개별적으로 분배했으며, 다수의 국가사업 중 주파수 공급의 시급성과 중요성에 따른 우선순위별 공급이나 공동사용하는 등 효율적 공공용 주파수 공급 방안 마련이 난해했었다.
 
미래부는 이를 개선해 매년 공공용 주파수에 대한 정부부처 및 공공기관 등의 수요를 받아 이에 대한 협의, 조정을 거쳐 주파수 수요의 적정성을 평가하고 공급방안을 마련해 거시적 관점의 공공용 주파수 수급계획을 수립하는 ‘공공용 주파수 수급체계’를 새로 만들었다.
 
이번 전파법 개정으로 인해 공공용 주파수에 대한 명확한 수요 예측과 종합적인 검토가 가능하게 돼 주파수 공급이 시급한 공공사업에 우선적으로 공급하고 주파수 용도가 유사한 공공사업은 공동으로 사용하는 등 주파수 자원의 낭비 방지 및 효율적 이용이 보다 상승 할 전망이다. [시사포커스 / 오무진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