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화 국회의장이 31일 여야 중진의원들과 만나 여야 협상이 난항을 겪고 있는 선거구획정안에 대해 논의했다. 특히, 정 의장은 이 자리에서 '246석 직권상정안'에 대한 협조를 당부했다.
정 의장은 이날 오후 2시 국회 의장접견실에서 열린 여야 중진의원들과의 회동 자리에서 "내일 0시가 되면 입법비상상태로 빠지게 된다"며 "그동안 백방으로 노력했지만 결국 합의를 이루지 못했다"고 전했다.
정 의장은 이어 "1일 0시를 기해 총원 300명, 지역구 246석으로 기준을 정하려고 한다"며 "다만 오늘 오후 4∼5시 여야의 김무성, 문재인 대표와 함께 마지막으로 합의를 도출하는 노력을 해볼 생각"이라고 말했다.
정 의장은 또 "의장이 직권으로 어떤 별도의 안을 내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그는 "헌법재판소가 인구편차를 이야기하면서 다른 별도의 말을 하지 않은 것을 봐서 기존의 숫자를 염두에 두고 했을 것이라는 유추를 할 수 있다"고도 했다.
또한 "사실 지역구 253석, 비례 47석으로 가면 많은 부분이 해소된다는 방향으로 여야간에 논의가 있었지만 합의를 이루지 못했다"면서 "그 이유는 비례가 54석에서 47석으로 줄어드는 대신 비례성을 확보하는 방안을 여당이 받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직권상정안이) 부결이 되는 상황은 막아야 한다"며 "그렇게 (부결이) 되면 더 걷잡을 수 없는 상황이 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한편, 이날 회동에서 중진의원들은 여야 대표에게 '전권'을 위임해 협상을 진행하는 방향으로 추진하는 방향으로 의견을 모았다.
여야 협상 대표가 합의할 경우, 각당이 의총 등을 통해 번복하지 않겠다는 약속을 하는 식으로 전권을 맡기자는 것이다.
더불어민주당 박병석 의원은 회동을 마친 뒤 "각당 의원총회에서 전권대표를 선임해서 누구든 전권대표 협상 결과 대하여 이의 달지 않는다 하는 조건 하에 전권 대표협상을 하자는 쪽으로 의견이 모였다"고 전했다.
또한 여야 중진의원들은 이날 의장의 직권상정안에 대해 다양한 우려를 드러냈다. 여야 합의가 아닌 의장 직권상이 오른다는 것과 의장 직권상정안이 부결될 가능성이 있다는 점에서다.
정 의장과 여야 중진의원들은 1월 초에 다시 만나 이 문제를 논의키로 했다.
한편, 이날 회동에는 새누리당에서 서청원 최고위원, 이병석 전 정치개혁특별위원회 위원장, 심재철·정병국 의원이 더민주당에서는 문희상·박병석·정세균·김영환·원혜영·신계륜 의원 등이 참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