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방법 특허 2024년 만료…“출시시기 지연 목적 대부분”

8일 업계에 따르면 암젠은 캐나다에서 삼성바이오에피스가 개발한 바이오시밀러인 ‘브렌시스(해외 제품명 베네팔리)’가 오리지널 의약품의 적응증 및 제형특허를 침해했다며 소송을 제기했다.
브렌시스는 암젠사의 관절염 치료제 ‘엔브렐(성분명 에타너셉트)’의 첫 바이오시밀러다. 지난해 5월 삼성바이오에피스가 캐나다 보건부에 브렌시스의 품목 허가를 신청한 직후 암젠은 이에 대해 허가금지 신청을 냈다.
삼성바이오에피스 관계자는 “캐나다는 바이오시밀러 허가 신청과 동시에 오리지널사의 특허 침해 여부를 검토하는 의약품 허가-특허 연계제도를 시행한다”며 “이를 활용한 허가금지 신청”이라고 설명했다.
엔브렐의 물질특허는 지난해 이미 만료됐지만, 제조방법의 특허는 오는 2024년에 종료된다. 업계는 삼성바이오에피스가 올 상반기 미국 나스닥시장 상장 추진 및 유럽연합 판매허가 심사가 이뤄지고 있는 만큼, 이번 특허분쟁에서 캐나다정부가 어떤 결정을 내릴지 관심을 집중하고 있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원 개발사 측에서 자사 제품보호 및 출시시기를 지연시키고자 특허 침해 소송을 제기하는 건 흔한 일이라고 설명했다.
◆ 브렌시스, 지난해 첫 처방
브렌시스는 지난해 크리스마스 이브인 12월24일 국내 환자에게 처음 처방됐다. 삼성바이오에피스가 개발한 바이오시밀러가 실제 환자에게 처방된 건 지난 2012년 2월 창립 이후 약 4년 만이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창립 이후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유방암 치료제 등의 바이오시밀러 개발을 계속해왔다. 브렌시스는 그 첫번째 결실이다.

지난해 9월에는 브렌시스가 삼성의 바이오시밀러 가운데 처음으로 식품의약품안전처의 품목 허가를 받았다.
같은 해 11월에는 유럽의약청(EMA)이 브렌시스(유럽 상품명 베네팔리)의 품목 허가를 권고, 유럽 판매 허가도 눈앞에 두고 있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작년 12월 초 국내 시장에 처음으로 브렌시스를 출시했다. 이어 약 3주 만에 첫 처방을 확인한 것이다. 브렌시스는 오리지네이터(오리지널 의약품) 엔브렐과 효과·안정성이 동일하면서 가격은 30% 저렴하다.
◆삼성, 바이오산업에 명운
한편 삼성은 지난해 12월21일 삼성바이오로직스 인천 송도 본사에서 제3공장 기공식을 개최하며 미래 먹거리인 바이오산업 진출을 본격화했다.
이 공장은 세계 최대 규모인 18만ℓ의 바이오 플랜트로, 오는 2017년 완공 예정이다.
예정대로 사업이 진행될 경우 삼성은 오는 2018년 시장점유율 32%를 달성해 세계 1위를 차지할 것으로 기대된다. 업계에서는 삼성이 바이오산업을 통해 ‘제2의 반도체 신화’를 새로 쓸지 관심을 모으고 있다. [시사포커스 / 신현호 기자]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