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관영, 탈당 선언…무너진 ‘전북 스크럼’

김 의원은 김한길 의원이 새정치민주연합 당 대표 시절 비서실장을 역임하는 등 김한길계로 분류된다.
특히, 김 의원이 탈당하면서 전북에선 유성엽 의원에 이어 두 번째 더민주 탈당 의원이 됐는데 김 의원의 탈당으로 일명 ‘전북 스크럼’이 무너졌다.
‘전북 스크럼’이란 전북지역 현역의원들이 최근의 야당 분열 사태와 관련, 가급적이면 개별행동을 자제하자고 공감대를 형성한 것을 뜻한다.
전북지역 현역 의원들의 이 같은 공감대 형성에 불구, 김 의원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저는 오늘 더불어민주당을 떠나고자 한다”며 탈당을 공식 선언했다.
김 의원은 탈당 배경에 대해 “더불어민주당이 싫어서가 아니라 새로운 희망을 만들기 위해서”라면서 “제1야당은 국민의 기대에 부응하지 못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19대 국회에 입문할 때에 제 꿈은 국민이 좀 더 행복하고 편안한 생활을 할 수 있는 정의로운 대한민국을 만드는 것”이라며 “보람 있는 일들도 많았지만 제 양심을 향해 19대 국회가 과연 국민의 먹거리와 미래에 어떤 의무를 다했는지 자문한다면, 국민 앞에 얼굴을 들 수가 없다”고 토로했다.
김 의원은 또 “입으로는 혁신과 개혁을 말하면서 속으로는 기득권 보호에 집착하고, 자신의 생각은 바꾸지 않으면서 남의 생각이 바뀌기를 강요하고, 통합을 말하면서 배척을 일삼는 모습엔 여야가 따로 없었다”고도 했다.
그러면서 “제 기능을 상실한 지금의 정치 환경에 새로운 희망의 씨앗을 틔우는 데에 기여하고 싶다”며 “대안 없는 비판과 집단적 반목이 반복되는 작금의 정치 행태를 합리적 토론을 통한 상생과 타협의 정치로 바꾸고 싶다”고 말했다.
또한 “김대중 전 대통령과 노무현 전 대통령의 정치 철학은 무엇이었는지도 다시 한 번 깊이 되뇌어 보았다”며 “두 전 대통령의 삶이 보여 주었던 준엄한 명령은, 비우고 내려놓아라, 하나로 합쳐라, 끊임없이 변하라, 불의와 타협하지 마라, 그리고 국민의 일상적 삶을 돌보는 정치를 하라는 것이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저는 두 분의 명령에 새로운 정치로서 그 답지를 만드는 노력을 해 나가고자 한다”며 “국회의원이 되기 위한 길이 아닌 국민의 민생을 위한 길로 걸어가겠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저의 선택이 대한민국의 정치 변화와 정권교체를 위한 옳은 선택이었다는 평가를 받을 수 있도록 사즉생의 각오로 최선을 다하겠다”며 “국민의 당에서 새로운 정치, 상식이 통하는 정치, 품격이 있는 정치를 통해 반드시 희망을 틔우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