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소시엄 참여 전망…2파전 구도 깨지나

21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미래에셋증권은 자구안을 이행하고 있는 현대그룹이 다시 매물로 내놓은 현대증권 인수전에 사모펀드 LK투자파트너스와 손을 잡고 뛰어드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래에셋증권은 LK투자파트너스 및 기관투자자들과 컨소시엄을 구성, 전략적 투자자(SI)로서 이번 인수전에 참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LK투자파트너스는 앞서 현대증권 인수의향서(LOI)를 제출한 바 있다. 미래에셋 측은 “LK투자자파트너스로부터 현대증권 입찰 컨소시엄에 참여하는 것은 어떠냐는 제안을 받은 바 있어 현재 투자를 검토하고 있다”고만 밝혔다.
미래에셋증권은 업계 2위 대우증권 인수전에서 KB금융지주와 한국금융지주를 제치고 인수에 성공, NH투자증권을 제치고 단숨에 증권업계 1위로 올라섰다. 양사가 합병할 경우 자기자본은 6조원에 육박한다. 여기에 자기자본 3조원대의 현대증권까지 품에 안을 경우 미래에셋 박현주 회장이 누누히 공언해 온 ‘10조 증권사’가 탄생할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
물론 이번 인수전 참여는 단독 참여가 아닌 전략적 투자자로서의 참여라는 점에서 당장 미래에셋증권이 현대증권을 품게 되는 것은 아니다. 어디까지나 인수주체는 사모펀드인 LK투자파트너스이기 때문에 온전한 단독 경영권을 행사할 수는 없는 셈이다.
하지만 미래에셋증권은 컨소시엄이 인수에 성공한 후 경영권을 행사하면서 회사를 파악하고 투자자들이 자금회수에 나설 때 현대증권을 온전히 인수하는 방안까지 염두에 두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증권업계의 비상한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다만 자금조달 방안에 대한 논란이 다시 불거질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 이미 대우증권 소액주주와 노조 측은 미래에셋증권이 대우증권을 인수하는 방식이 대우증권 및 주주에게 합병 비용을 우회적으로 전가하는 방식이라고 반발하고 금융당국에 철저한 심사를 당부한 바 있다. 하지만 대우증권 인수와 달리 일단 전략적 투자자로서 참여하는 방안이라는 점에서 예전만큼 거센 반발이 나오지는 않을 것이라는 시각도 존재한다.
한편 대우증권 인수전에서 고배를 마셨던 KB금융지주와 한국금융지주로서는 미래에셋증권의 참전이 적지 않은 부담이 될 전망이다. 양사는 사실상 마지막으로 남은 대형 증권사 매물인 현대증권 인수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하지만 미래에셋증권이 참전하면서 경쟁이 치열해질 경우 양사의 2파전 구도가 깨지는 것은 물론 인수가도 천정부지로 올라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 시사포커스 / 김종백 기자 ]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