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입정책 미래지향적으로 만들어 달라는 요청이 많았다"

31일 교육부는 이날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수능 개편을 1년 유예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교육부는 대입 3년 예고제에 따라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되는 현재 중3 학생들이 응시할 2021학년도 수능 개편을 2016년 3월부터 추진해 왔으며, 지난 10일에 2021학년도 수능 개편 시안을 발표하고, 총 4차례의 권역별 공청회 등을 통해 여론을 수렴했다.
이 과정에서 고교 교육 정상화 등 문재인 정부의 교육철학을 반영한 종합적 교육개혁을 추진해야 한다는 의견과 대입정책을 미래지향적으로 만들어 달라는 요청이 많았다고 교육부의 설명이다.
또 수능 개편안만 발표하기보다는, 학생부종합전형을 포함한 종합적인 대입전형 개편방향을 함께 발표해야 한다는 지적이 많았다.
또한 절대평가 범위 등 수능 개편방향에 대한 교육주체 간 이견이 크고, 사회적 합의가 충분하지 않았음도 확인됐다.
이에 따라 교육부는 짧은 기간 내에 양자택일식의 선택을 강요하기보다는 충분한 소통과 공론화 과정을 통해 합리적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과 우려가 많았다고 설명했다.
한편 앞서 지난 10일 현재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이 2020년 말에 응시하게 될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개편 시안을 발표했다.
이번 수능시험 개편은 문-이과 구분 없이 인문사회, 과학기술 기초 소양을 지닌 융복합 인재를 길러내고자 지난 2015년 9월에 확정 고시된 2015 개정 교육과정을 반영하기 위한 것.
우선 2021학년도 수능의 개편 방향은 크게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목적과 내용을 반영하여 기초 소양 함양과 더불어 학생의 진로와 적성에 맞는 학습과 선택과목을 활성화하는 내용이다.
또 고등학교 교육을 내실화할 수 있는 수능 과목과 점수체제, 평가방식을 마련하고, 학생과 학부모의 수능 준비 부담을 경감하는 것에 목적을 뒀다.
특히 1안은 통합사회, 통합과학과 제2외국어/한문 과목까지 4개 과목을 절대평가하는 방안이며, 2안은 7개 과목 모두를 절대평가하는 방안이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