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해치유재단 기금 10억 엔은 우리 정부 예산으로 충당"

9일 강 장관은 9일 서울 도렴동 외교부 청사에서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한일 위안부 합의 처리 방향을 발표했다.
이날 강 장관은 “작년 12월 27일 위안부 TF 결과 보고서 발표에 앞서 저는 피해자 여러분 등의 의견을 겸허히 수렴하고 한일 관계에 미칠 영향도 감안하면서 비록 짧은 기간이었지만 주무부처인 외교부와 여성가족부를 중심으로 피해자 분들과 관련 단체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는 한편 이웃 국가인 일본과의 관계도 정상적으로 발전시켜 나갈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진지하게 검토했다”고 밝혔다.
이어 “이러한 과정에서 무엇보다도 피해자 분들의 존엄과 명예가 회복되어야 함을 명심했다”며 “한일 양자 차원을 넘어 전시 여성 성폭력에 관한 보편적 인권 문제인 위안부 문제가 인류 역사의 교훈이자 여성 인권 증진 운동의 국제적 이정표로 자리매김을 해야 한다는 점을 중시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위안부 합의 검토 TF 결과 토대로 마련된 이 합의에 대한 정부의 기본적인 처리 방향에 대해 “우리 정부는 위안부 피해자 분들의 명예, 존엄 회복 및 마음의 상처 치유를 위해 우리 정부가 해야 할 일을 해 나가는 데 모든 노력을 다해 나가겠다”며 “이 과정에서 피해자 관련 단체 국민들의 의견을 광범위하게 수렴하면서 피해자 중심의 조치들을 모색해 나가겠다”고 했다.
또 “일본 정부가 출연한 화해치유재단 기금 10억 엔은 우리 정부 예산으로 충당하고 이 기금의 향후 처리 방안에 대해서는 일본 정부와 협의하도록 하겠다”며 “화해치유재단의 향후 운영과 관련해서는 해당 부처에서 피해자 관련 단체 국민 의견을 광범위하게 수렴해 후속 조치를 마련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더불어 “피해 당사자인 할머니들의 의사를 제대로 반영하지 않은 2015년 합의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의 진정한 문제 해결이 될 수 없으며 2015년 합의가 양국 간의 공식 합의였다는 사실은 부인할 수 없음을 감안해 정부는 본 합의와 관련 일본 정부에 대해 재협상은 요구하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하지만 “일본이 스스로 국제 보편 기준에 따라 진실을 있는 그대로 인정하고 피해자들의 명예, 존엄 회복과 마음의 상처 치유를 위한 노력을 계속해 줄 것을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또 강 장관은 “피해자 할머니들께서 한결 같이 바라는 것은 자발적이고 진정한 사과이며 정부는 진실과 원칙에 입각하여 역사 문제를 다루어 나가겠다”며 “과거사 문제를 지혜롭게 풀어나가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는 동시에 한일 양국 간 미래지향적 협력을 위해 계속 노력해 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