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무사 논란, “군 정치개입 막아야” vs "쿠데타는 과장 해석"
기무사 논란, “군 정치개입 막아야” vs "쿠데타는 과장 해석"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우상호, “광주항쟁 트라우마 무시한 위험한 발상”
나경원, “쿠데타는 과장된 해석, 적폐청산 명목 남용 말아야”
우상호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과 나경원 자유한국당 국회의원이 13일 TBS라디오 ‘김어준의 뉴스공장’에 출연해 최근 기무사 계엄령 계획 문건 논란에 대해 열띈 토론을 가졌다.  사진 / 시사포커스DB
우상호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과 나경원 자유한국당 국회의원이 13일 TBS라디오 ‘김어준의 뉴스공장’에 출연해 최근 기무사 계엄령 계획 문건 논란에 대해 열띈 토론을 가졌다. 사진 / 시사포커스DB

[시사포커스 / 현지용] 우상호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과 나경원 자유한국당 국회의원이 13일 TBS라디오 ‘김어준의 뉴스공장’에 출연해 최근 기무사 계엄령 계획 문건 논란에 대해 열띤 토론을 가졌다.

우 의원은 토론에서 “(기무사가) 당시 촛불 민심에 의한 탄핵이 기각 됐을 시 이들에 의해 폭동이 일어날 가능성을 대비하는 명분으로 계엄령까지 검토하는 등 해당 문건을 작성한 것은 상당히 위험한 발상이다”며 “광주항쟁이란 트라우마가 있음에도 계엄 선포 시 오히려 더 폭력 상황으로 진전될 수 있음에도 해당 문건을 작성한 분들이 왜 이런 발상을 했는지 조사가 필요하다”고 말하자 나 의원은 “탄핵이 인용되자 태극기 집회 참석자와 촛불집회 참석자들이 엄청난 숫자로 집회에 참여해 집회 참가자들에 의한 폭동, 소요 사태를 대비하기 위한 것이다”고 답했다.

“백번 양보해서 위수령 정도 검토는 비상대비책이라 볼 수 있으나 계엄 계획은 너무 앞서나간 것 아니냐”는 우 의원의 질문에 나 의원은 “계엄을 과장해서 이야기 하는 사람들은 쿠데타 시도라 말하는데, 군사 기밀도 아닌 평문으로 작성한 문건이기에 대통령까지 특별 수사를 지시하는 등 이번 문제를 그렇게까지 비약할 필요가 있느냐”고 말했다.

군의 정치 개입 문제에 대해 나 의원은 “(전두환 전 대통령의 사례가) 이 시대에 일어나면 온 국민이 거리로 나설 것이나 많은 국민들이 적폐청산이라는 이름으로 곳곳에서 벌어지는 일에 과하다고 느끼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하자 우 의원은 “촛불 집회든 태극기 집회든 집회를 진압하는 목적으로 군을 투입하는 계획을 세워선 안된다”고 답했다.

한편 나 의원은 “대통령이 기무사 특별 수사단을 구성하도록 지시한 것은 마치 통치 행위 같다”며 “前기무사령관이 대북강경론자라 대통령이 대북강경라인에게 경고를 준다는 사설도 있듯, 어떤 의도를 품고 개혁하는데 있어 적폐청산이라는 변론을 갖고 하는 것은 안된다” 말하자 우 의원은 “대북강경론이 어떻다는 이유는 말이 맞지 않다”며 “군의 정치 개입은 어떤 이유로든 철저히 막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