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국제선 여객 91% 급감…“항공 수요 절벽 왔다”
3월 국제선 여객 91% 급감…“항공 수요 절벽 왔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적사·LCC 모두 적자 전망
코로나19 여파로 한산한 인천국제공항. ⓒ임현지 기자

[시사포커스 / 임솔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한 국내 항공사들의 수요 절벽이 본격화하고 있다. 3월 국제선 여객은 전년 대비 91% 감소했고 국내선도 57% 감소했다.

항공사별로 살펴보면 대한항공의 3월 국제선 여객은 87% 감소했고, 아시아나(-88%), 제주항공(-95%), 진에어(-97%), 티웨이항공(-97%), 에어부산(-99%), 이스타항공(-99%)도 심각한 상황이다.

정연승 NH투자증권 연구원은 8일 “2분기 내에 수요 회복을 기대하기 어렵다”며 “현 시점에서 국내 항공사는 인력 축소를 포함한 극심한 비용 절감 외에는 위기를 헤쳐 나갈 수 있는 방법이 없다”고 말했다.

실제로 대한항공은 오는 4월 16일부터 10월 15일까지 6개월간 직원 휴업을 실시한다. 국내지역에서 근무하는 직원들 중 부서별로 필수 인력을 제외한 여유 인력이 모두 휴업을 실시하게 된다. 직원 휴업의 규모는 전체 인원의 70%를 넘는 수준이다. 여기에 다음 달부터 부사장급 이상은 월 급여의 50%, 전무급은 40%, 상무급은30%를 경영상태가 정상화될 때까지 반납키로 했다.

정 연구원은 “정부의 유동성 지원 기대감이 국내 항공사 주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나, 지원 규모와 대상에 대한 불확실성이 존재한다”며 “정부의 유동성 지원전, 개별 항공사별로 자구 노력이 필요하다고 밝힘에 따라 항공사별 자본확충을 위한 다양한 방법이 논의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주주가치 희석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분석했다.

국내 대형국적사(왼쪽) 및 LCC 국제 여객 증가율 추이. ⓒNH투자증권
국내 대형국적사(왼쪽) 및 LCC 국제선 여객 가율 추이. ⓒNH투자증권

방민진 유진투자증권 연구원도 “2003년 사스나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의 위기”라며 “코로나19로 인한 수요 타격이 V자 회복을 하게 될지 확신할 수 없다. 경기에 미친 타격이 상당하다”고 어두운 전망을 예고했다.

이어 “매출은 급감하고 고정비용은 큰 항공사들의 보유 현금 소진이 가속화되고 있다”며 “인건비 조정으로 버티기에는 한계가 있고, 정부 지원이 논의되고 있으나 수요 타격이 장기화될 경우 모든 항공사를 구제하는 것이 가능할 것인지 의문이다”라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