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포커스 / 이청원 기자] 올여름 기온 변화의 등락이 심했고, 역대 가장 긴 장마를 기록했다.
9일 기상청에 따르면 올해 6월 초부터 이른 폭염이 나타나 한 달간 지속돼 1973년 이후 1위로 높았으나, 7월 장마의 지속으로 기온이 오르지 않아 하위 5위까지 낮아졌으며, 8월은 폭염과 열대야가 지속돼 7월 말부터 8월 중순까지 더웠던 평년과 다르게 여름철 기온변동을 보였다.
또 기온과 습도가 높은 공기(이하 북태평양고기압)의 영향과 서쪽에서 접근한 저기압에 의해 따뜻한 남서풍이 유입돼 강한 일사까지 더해지면서 가장 더운 6월로 기록되기도 했다.
특히 덥고 습한 북태평양고기압 가장자리를 따라 수증기가 지속적으로 유입돼 정체전선에 의한 강한 강수대가 자주 형성되면서 강수 기간도 길고, 강수량도 많았는데 강수량은 1007.0㎜로 역대 3위에 해당했다.
장마철 기간은 제주에서 6월 10일 시작해 7월 28일 종료돼 49일을 기록했고, 중부는 6월 24일 시작해 8월 16일에 종료돼 54일을 기록 1973년 이후 가장 긴 장마로 기록됐다.
장마철 전국 강수량(686.9㎜)은 1973년 이후 2위, 중부(851.7㎜)는 1위, 남부(566.5㎜)는 4위, 제주(562.4㎜)는 10위를 기록했고, 전국 강수일수(28.3일)는 1위, 중부(34.7일)와 제주(29.5일) 1위, 남부(23.7일) 4위를 기록했다.
이같은 원인에 대해 6월 시베리아 이상고온으로 7월 북극 해빙(海氷) 면적이 1979년 이후 최저를 기록해 이로 인해 우리나라 주변은 대기정체로 편서풍이 약해지고 북쪽으로부터 찬 공기의 유입이 잦았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또 태풍은 여름철에 총 8개의 태풍이 발생(평년 11.2개)했고, 이 중 3개(제5호 장미, 제8호 바비, 제9호 마이삭)가 우리나라에 영향을 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