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건영 "김종인, 가짜뉴스 현혹되지 말라...북 원전 건설은 정치소설"
윤건영 "김종인, 가짜뉴스 현혹되지 말라...북 원전 건설은 정치소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남북정상회담 당시 '북한 원전 건설' 추진한 적 없다"
"컴퓨터에 그런 내용 있었다고 해서 정부 추진 정책이라 볼 수 없어"
"김종인, 사실 관계 파악없이 입장문 발표는 너무해...경박해 보여"
더불어민주당 윤건영 의원. 사진 / ⓒ윤건영 의원 페이스북
더불어민주당 윤건영 의원. 사진 / ⓒ윤건영 의원 페이스북

[시사포커스 / 이혜영 기자] 산업통상자원부 공무원이 삭제한 자료에서 '북한지역 원전건설 추진방안' 문건이 나와 파문이 일어난 가운데 국민의힘 김종인 비상대책위원장이 진상규명위원회를 구성하겠다고 나서자 더불어민주당 윤건영 의원이 "김종인 대표님, 최소한 당 대표라면 가짜뉴스에 현혹되지는 말아야 한다"고 29일 반박했다.

윤 의원은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대한민국 제1야당을 대표하시는 분께서 근거도 없는 보도를 보시고 갑자기 무슨 난리라도 일어난 것처럼 입장문을 내는 것은 대표답지 못한 것 같다"면서 "최소한의 팩트는 확인하고 말해야 한다"고 말했다.

앞서 김 위원장은 이날 입장문을 통해 "어제 월성 원전 1호기 경제성 조작 의혹 자료를 삭제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산업부 공무원들에 대한 공소장 전문과 삭제된 530개 파일 목록이 언론에서 전면 공개됐다"면서 "당 진상규명위원회를 구성하는 등 이 정부가 숨기려는 것을 낱낱이 드러낼 것"이라고 공언했다.

김 위원장은 "공개 자료에 따르면 문재인 정부가 대한민국 원전을 폐쇄하고 북한에 극비리에 원전을 지어주려 했다"면서 "원전 게이트를 넘어 정권의 운명을 흔들 수 있는 충격적인 이적행위"라고 비판을 가했다. 

이에 윤 의원은 "통일부 관계자도 아니라고 하고, 마찬가지로 산업부에서도 근거 없는 보도라고 했다"며 "남북정상회담을 실무준비한 제가 봐도 사실이 아니다"고 해명했다.

그는 "'북에 원전을 지어주려고 했다'는 부분은 정치 소설의 백미이다"면서 "도대체 어떤 근거로 그리 말하냐. 설마 산업부 공무원의 컴퓨터에 그런 내용이 있다고 해서인가. 만약 그렇다면 정말 심각하다"고 말했다.

윤 의원은 "작은 조각 하나로 '빨갱이'를 만들고, 그 '빨갱이들'을 엮어 시국사건을 만들던 권위주의 독재정권 방식은 이제 통하지 않는다"며 "지금이라도 늦지 않았다. 차분하게 사실 관계부터 확인하시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그는 김 위원장을 향해 "아무리 최근 당 지지율이 떨어지고, 4월 보궐선거가 급해도, 소속 의원의 '후궁 막말', 재보선 후보들의 실언 등 악재가 겹친다 해도, 당 대표 되시는 분께서 사실관계 확인도 하지 않고 입장문을 내는 것은 너무 했다"며 "무게 없이 경박해 보인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윤 의원은 언론을 향해서도 "남북정상회담 관련 일부 언론의 괴상한 보도 행태에 대해 분명한 입장을 말씀드린다"며 "문재인 정부에서 있었던 세 차례의 남북정상회담과 교류 협력사업 어디에서도 북한의 원전 건설을 추진한 적이 없다"고 해명했다.

그는 "행정부 국가공무원 총 68만명의 컴퓨터에 있는 문서가 모두 남북정상회담의 의제이고, 정부 정책이냐"면서 "제가 지난해 11월 '소설 같은 이야기'라고 한 까닭이다"고 덧붙였다.

윤 의원은 "백번 양보해서, 해당 산업부 공무원이 관련 내용을 검토했을 수는 있다"면서도 "그러나 그 공무원의 컴퓨터에 그런 내용이 있었다고 그것이 정부 차원에서 추진되는 정책 추진이라고 볼 수는 없다"고 설명했다.

그는 "어느 단위까지 보고 되고, 어떤 과정으로 의논되었는지를 살펴보지 않고, 파일이 있으니 정상회담에서 논의되었다고 억지를 부리는 것은 정말 '무식한 소리'이다"면서 "정부 운영의 기본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가 전혀 없는 주장"이라고 비판했다.

또한 윤 의원은 "핀란드어로 폴더명이 되어 있었다고 '매우 보안에 신경 썼다'는 주장은 인간의 상상력의 한계가 어디인지 궁금하게 한다"며 "통상 폴더명은 쓰는 사람의 편의를 위한 것이지 보안과는 전혀 상관없다"고 반박했다.

그러면서 "해당 언론은 컴퓨터 폴더명으로 보안을 지킬 수 있다고 생각하냐"며 따져 물었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