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선 직후 노인 무임승차 폐지론이 등장해 논란이 되고 있다.
12월 23일 "지하철 노인 무임승차 폐지해주세요"라는 청원이 다음 아고라에 게재됐다. 20일 시작한 서명은 이틀 만에 최초 목표인 7,000명을 넘겨 현재 9,400명이 서명한 상태이다.
청원을 한 누리꾼은 "노인들이 국민 복지에 대해 달갑게 생각하지 않는 것 같다"며 "그런 의미에서 가뜩이나 재정이 악화돼 가는 지하철공사에서 노인 무임승차를 전면 폐지해주시기 바랍니다'라는 글을 남겼다.
5060세대가 보편적 복지에 반대하는 박근혜 후보에게 표를 몰아줬으니 이들이 누리는 복지혜택을 없애야 한다는 주장이다. 이는 대선 패배에 대한 2030세대의 증오로 풀이되고 있다.
2030세대는 청원에 서명을 하며 "노인들 역시 보편적 복지가 아닌 선별적 복지가 필요하다", "아무 일없이 지하철 종점에서 종점을 찍고, 별의미 없이 타고 다니시는 것 민폐입니다", "지하철 적자가 매 해 9,000억입니다. 택배업 하겠다고 공짜로 지하철 타고 다니신다면서요? 무분별한 복지 반대하신다면서요. 그 뜻 존중합니다" 등 5060세대를 비꼬고 나섰다.
이번 대선은 지역갈등은 완화된 대신, 세대간의 간극이 뚜렷히 드러난 바 있다. 전문가들은 "이번 대선으로 말미암아 세대간의 갈등을 확인한 만큼 앞으로 세대간 갈등을 해소할 정책대안을 마련해야 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