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늘종, 비만·고지혈증 개선에 효과
마늘종, 비만·고지혈증 개선에 효과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봄철에 즐겨먹는 마늘종이 비만·고지혈증 개선 등 대사증후군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국내 연구진에 의해 입증됐다.

대사증후군이란 만성적인 대사 장애로 인하여 내당능 장애, 고혈압, 고지혈증, 비만, 심혈관계 죽상동맥 경화증 등의 여러 가지 질환이 동시 다발적으로 나타나는 상태를 말한다.

농촌진흥청은 마늘종의 대사증후군 개선 효과 탐색을 위한 동물실험에서 마늘종이 체중을 줄여주고 혈중 지질 지표를 개선하는 효과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고지방먹이를 먹여 비만을 유도한 생쥐를 대상으로 4주 동안 체중 kg당 250mg의 마늘종 추출물을 먹인 결과, 먹지 않은 생쥐와 비교해 체중은 9.6 %, 복부지방세포 크기는 38 % 가량 줄었다.

또한 혈중 지질 지표도 대폭 개선돼 혈청 중성지질은 18.3∼22.6 %, 총 콜레스테롤은 14.0∼19.6 % 각각 줄었다. 공복혈당(21.8∼22.3 %), 혈중 인슐린(46.4∼60.7 %), 인슐린 저항성지표(43.9∼54.8 %) 등도 각각 줄었다.

마늘종 추출물 투여로 간의 중성지질과 총 콜레스테롤 농도도 각각 22.98∼26.7 %와 10.3∼17.2 %를 줄여 간 조직 내 지방 축적을 막았다. 반면, 변을 통한 중성지방의 배설은 약 1.6배 가량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마늘종은 3월 중순부터 5월 초순까지 마늘 알뿌리를 키우기 위해 잘라내는 부산물로, 제주 서귀포 대정·안덕지역, 경남 남해, 전남 고흥 등을 중심으로 재배되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