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상정 정의당 의원이 150쪽 분량의 '2012년 S그룹 노사전략' 문건을 공개하며 ‘삼성의 노조설립 와해의혹’을 제기한 데 대해 삼성은 “바람직한 조직문화에 대해 토의하기 위해 작성된 것”이라고 공식 해명했다.
15일 삼성은 공식 블로그를 통해 “해당 자료는 2011년 말 고위 임원들의 세미나를 준비하면서 바람직한 조직문화에 대해 토의하기 위해 작성된 것”이라며 “종업원을 인격적으로 대하고 불합리한 제도나 관행이 있으면 이를 바로잡아 조직분위기를 활성화하자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고 밝혔다.
전날 심 의원에 따르면, 삼성은 문제인력이 노조를 설립할시 즉시 징계를 위해 비위사실 채증, 노사협의회를 노조설립 저지를 위한 대항마로 육성, 임원 및 관리자 평가 시 조직관리 실적 20~30% 반영 등 내용을 해당문건에 담았다. 또 승격누락, 하위고과자 등 문제인력을 재분류해 이중 활용가능자는 우군화시키고, 활용불가자는 희망퇴직을 종용하라는 내용도 포함한 것으로 전해졌다.
삼성은 “노사가 서로 대립하고 갈등하기보다 상호화합하고 존중하는 것이 경영에 바람직하다는 판단 하에 그 동안 노동조합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경영을 견지해 왔다”면서도 “노조가 합리적·합법적 테두리 내에서 활동한다면 문제가 없겠지만 많은 경우 불필요한 갈등과 대립을 유발하는 부작용이 있는 것도 사실”이라고 토로했다.
이어 “삼성의 글로벌 경쟁기업인 애플·IBM·HP·구글·마이크로소프트(MS) 등도 노조를 필요로 하지않는 기업경영을 통해 글로벌 강자로 성장해 왔다”며 “무수한 글로벌 기업이 하루 아침에 사라지는 냉엄한 현실에서 종업원을 존중하고 아끼는 기업문화를 지속적으로 발전시키면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춰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하지만 심상정 의원은 “경제민주화라는 것은 ‘법 앞에 평등’과 ‘노조 인정’, 이 두 가지가 핵심이다. 시장권력의 정점에 선 삼성의 변화없이 경제민주화는 불가능하다는 점이 드러났다”며 “국정감사에서 삼성 최고위경영진을 증인으로 채택해 출석시킨다든지, 그것이 안 되면 별도의 청문회를 추진할 수도 있다”고 강경한 입장을 밝혔었다. 삼성 노조설립 와해의혹 논란이 어떻게 번져나갈지 이목이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