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이 신입사원 채용제도 개편의 일환으로 추진했던 '대학총장 추천제'를 전면 유보하겠다고 밝혔다.
삼성은 28일 공식 입장을 내고 "대학총장 추천제로 인해 각 대학과 취업준비생 여러분들께 혼란을 드려 대단히 죄송하다"며 이 같이 전했다. ‘대학총장 추천제’는 대학총장에게 인재 추천권을 부여하고 상시로 지원서를 접수해 SSAT 응시자격을 주는 채용제도다.
삼성은 "삼성 채용시험인 SSAT(삼성직무적성검사)에 연간 20만명 이상의 지원자가 몰리고 삼성 취업을 위한 사교육 시장이 형성되는 과열 양상이 벌어지며 사회적 비용이 커졌다"면서 "오로지 취업을 목적으로 한 스펙쌓기 경쟁에 대한 우려도 적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새로운 신입사원 채용제도를 발표했지만 대학서열화, 지역차별 등 뜻하지 않았던 논란이 확산되면서 사회적인 공감대를 얻기 어렵다는 판단에 이르렀다"며 "대학 총장추천제, 서류심사 도입을 골자로 하는 신입사원 채용제도 개선안을 전면 유보하기로 결정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삼성은 "학벌·지역·성별을 불문하고 전문성과 인성을 갖춘 인재를 선발한다는 '열린 채용' 정신을 유지하면서 채용제도 개선안을 계속해서 연구, 검토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삼성은 지난 25일 전국 200여 대학에 학교별 추천인원을 통보했다. 하지만 삼성이 재단운영에 참여하고 있는 성균관대가 가장 많은 추천인원을 할당받았다는 점, 여대는 할당인원이 적다는 점, 호남권보다 영남권 대학 할당인원이 많다는 점 등에서 각종 의혹이 제기됐다. 삼성의 대학서열화라는 지적도 끊이질 않았다.
야권에서도 쓴 소리를 날렸다. 한정애 민주당 대변인은 27일 “삼성이 대학총장의 채용추천권을 할당하는 오만함을 보이고 있다”고 지적했고, 홍성규 통합진보당 대변인은 이날 “대놓고 대학을 한 줄로 정렬시켰다"고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