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주당과 새정치연합의 통합신당인 ‘새정치민주연합’ 창당을 앞두고 민주당 내 친노와 비노 갈등이 예사롭지 않은 모습이다. 16일 새정치민주연합 창당 발기인대회를 앞두고 열린 민주당 의원총회서는 친노 인사들과 조경태 최고위원 사이에 욕설까지 난무하며 멱살잡이 직전까지 가는 상황이 벌어진 것으로 알려졌다.
이른바 ‘친노 배제론’을 놓고 부글부글 끓고 있던 갈등이 폭발한 것이다. 특히, 이해찬 전 총리와 문재인 의원 등 친노 좌장 두 사람은 이날 열린 창당 발기인대회에도 불참했다. 지역구 일정 등의 이유로 불참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정치권과 언론에서는 신당과 친노 관계를 상징적으로 보여준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친노 배제론 vs 조경태 배제론 충돌
민주당은 16일 오후 새정치민주연합 창당 발기인대회를 앞두고 신당추진단에서 결정한 당명과 당 색깔 등을 소속 의원들에게 추인 받기 위해 잠시 의원총회를 개최했다. 그런데 이와 관련한 김한길 대표의 설명이 끝나자마자 분위기가 갑자기 험악하게 돌변했다. 김상희 의원이 발언을 신청해 앞서 논란이 됐던 조경태 최고위원의 ‘친노종북’, ‘매노종북’ 등의 발언을 문제 삼고 나섰기 때문이다.
앞서 조 최고위원은 일부 언론인터뷰에서 “고 노무현 전 대통령을 팔아 패권화 하는 세력과 국가정체성에 대한 이념이 다른 세력은 신당에 합류하지 말라”, “이대로 가면 도로 민주당이다. 친노종북 세력은 신당에 따라오지 말라” 등 친노 배제론에 불을 지폈던 바 있다.
조 최고위원의 이 같은 발언을 두고 김상희 의원은 이 자리에서 “(발기인대회를 앞두고) 이런 얘기를 안 하려고 했는데, 어떻게 이런 발언을 할 수가 있느냐”며 “오늘 우리가 새롭게 출발하는 날이니 (조 최고위원의) 부적절하고 당에 부담을 주는 얘기에 대해 당이 화합해서 새롭게 출발할 수 있도록 사과를 하고 오해가 있었다는 것에 대해 설명을 하든 해야 한다”고 비판적 목소리를 냈다.
특히, 김 의원은 “(그렇지 않다면) 신당 발기인명단에서 빠져야 한다”고 조경태 최고위원에 대한 ‘역 배제론’을 제시하기도 했다.
하지만, 이에 대해 조 최고위원은 “저도 친노다. 우리 당에 노 전 대통령을 그리워하지 않는 사람이 어디 있느냐”면서 “(매노 발언은) 노 전 대통령을 자신들의 전유물로 삼고 전매특허인양 패권화된 일부 세력을 지칭한다”고 해명했다. 여전히 일부 강경 친노세력에 대해서는 비판적 입장을 견지한 것이다.
아울러, 조 최고위원은 “종북 문제는 덮는다고 해서 덮히는 게 아니다”며 “새누리당의 종북 프레임에 갇히지 않아야 하고, 그러기 위해선 민주당이 이석기 통합진보당 의원 문제를 먼저 제기하고 나가야 한다”고 이석기 의원 징계안 등에 대한 민주당의 적극적 태도를 요구하기도 했다.
조 최고위원이 이 같이 발언하는 과정에서는 비난과 욕설이 쏟아지기도 했다. 그동안 조 최고위원과 격한 다툼을 벌여오던 정청래 의원은 “건방 떨지마”라며 강하게 비난했고, 설훈 의원과 김경협 의원 등도 “사과하라”고 목청을 높였던 것으로 전해졌다. 일부 의원의 경우는 욕설까지 섞어가며 비난 항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해찬-문재인 불참 뒷말 무성
한편, 이해찬-문재인 의원 등이 창당 발기인대회에 불참하며 ‘친노 배제론’이 확산되고 있는 것과 관련해 민주당 최재천 전략홍보본부장은 “문재인 후보를 비롯해 바깥에서 친노라고 평가하는 분들이 ‘도대체 친노그룹이 어디 있느냐, 민주당에 친노가 어디 있느냐, 계가주의가 어디 있느냐’ 저는 그 말씀을 믿는다”고 말했다.
최재천 본부장은 17일 MBC라디오 ‘신동호의 시선집중’과 인터뷰에서 이 같이 말하며 “문재인 후보께서는 이미 부산 지역구에 대단히 중요한 약속을 잡아놓으셔서 양해를 하고 다음 번 부산창당대회 때 참석해서 말씀하시는 걸로 대신하겠다”며 “이런 연락을 받았기 때문에 그 점(불참)이 그렇게 중요한 평가요소라고 생각하지 않았다”고 덧붙여 말했다.
박용진 홍보위원장도 이날 YTN라디오 ‘전원책의 출발 새아침’과 인터뷰에서 “어제 민주당 의원 126명이 다 참석하신 것은 아니다”며 “해외 출장이 있거나 지역에 일찍 약속이 있는 등 각기 사정이 있는 의원들은 못 왔다”고 문재인-이해찬 의원만의 문제가 아님을 강조했다.
박 위원장은 덧붙여 “문재인 의원은 통합 결정이 밝혀지고 나서 곧바로 환영의 입장을 밝히신 바가 있고, 또 친노 인사라고 생각되는 정치인들도 다 환영의 뜻을 밝혔다”면서 “이 과정을 소외나 못마땅한 시각으로 보고 있다고 관측하시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확대해석을 경계했다.
새정치연합 금태섭 대변인 또한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와 인터뷰에서 ‘친노 배제론’에 대해 “우리는 전혀 그런 생각을 해 본 적이 없다”며 “민주당에서도 배제하거나 하는 움직임은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강조했다. [시사포커스 / 정흥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