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는 17일 자신의 ‘개헌 사과’ 발언과 관련, 청와대로부터 연락이 전혀 없었다고 밝혔다.
김 대표는 이날 오전 이날 국정감사 대책회의 직후 기자들과 만나 전날 밝혔던 개헌론 문제에 대한 해명을 이어갔다.
김 대표는 이번 사과 발언과 관련 '청와대로부터 연락이 있었느냐‘는 질문에 “전혀 없었다”며 “어쨌든 대통령한테 미안하다. (아셈회의에) 가서 고생을 하시는데”라면서 “(언론에) 대통령과 정면충돌이라고 났는데 그럴 생각이 전혀 없다”고 강조했다.
전날 김 대표의 개헌 발언이 알려지자 청와대는 입장을 내놓지는 않았지만 당혹감을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청와대 내부적으로는 김 대표 발언에 불만이 적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새정치민주연합은 김 대표가 사과 발언을 하자 ”김무성 대표가 개헌에 대해 발언하자 청와대가 발끈 한 것 같다”, “집권여당의 대표가 개헌이야기 했다가 청와대 눈치 보는 사태야말로 제왕적 대통령의 모습이 나타난 것”이라고 비판하기도 했다.
김 대표는 또 ‘개헌론에 불을 지폈다’는 지적에 “개헌론을 촉발시킬 생각은 전혀 없다”며 “실수로 커져버렸다”고 했다. 그는 “휘발성이 있는 것을 간과한 게 내 실수”라면서 “일단 대통령께 죄송하다”고 재차 사과했다.
김 대표는 “대통령에 대한 예의가 아니고 잘못된 것은 사과하고 난 확실히 잘못했으면 사과한다”며 “대통령이 말씀한 개헌 블랙홀이 경제에 지장을 주는 것도 맞는 말씀”이라고 말했다.
‘오늘 발언이 또다른 정치적 해석을 낳는 것 아니냐’는 질문에는 “그래서 더 이상 이야기 안 하고 딱 그 테이블에 있던 범위 안에서 이야기한 것”이라며 “대통령에 대한 예의를 갖춘다고 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럴 때는 빨리 해명하고 잘못된 것은 잘못했다고 하고 끝을 내야 한다”고 덧붙였다.
‘다음 해에는 개헌이 논의가 될 수 있다는 것이냐’는 물음에는 “바로 그 이야기가 나올텐데 가장 정확하게는 ‘정기국회가 끝나면, 야당이 있으니까 (개헌논의) 봇물이 터질텐데’ 하고 걱정하는 투로 시작된 것”이라면서 개헌 논의를 주도적으로 이끌 생각은 전혀 없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