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정치민주연합이 박근혜정부 비선실세로 알려진 정윤회 씨의 국정개입 의혹과 관련해 “쿠데타에 가까운 일”이라고 심각한 우려를 표하며 ‘비선실세 국정농단 진상조사단’까지 구성했다.
진상조사단 단장을 맡은 박범계 의원은 28일 오후 브리핑에서 “보도된 내용만 가지고도 진위여부를 떠나서 상당히 심각한 국정 농단의 흔적들이 엿보인다”며 “공직기강비서관실에 만든 감찰보고서가 있다는 것은 청와대가 인정을 했다. 그리고 감찰보고서가 민정수석 비서관에게 문건으로서 보고되었다는 것도 인정을 했다. 김기춘 비서실장에게는 구두로 대면보고를 했다고 정리되는 것 같다”고 전체적 상황을 요약했다.
그러면서 “여기서 분명한 점은 찌라시 내용을 편집 종합을 했다고 청와대는 이야기하고 있다”며 “그러나 그것의 진위는 중요하지 않다. 청와대는 대통령을 보좌하기 위해 비서실장을 정점으로 한 수석 비서관 체제로 운영 가동이 되고 있다”고 밝혔다.
박 의원은 “A모 행정관이 작성을 해서 담당 공직 비서관을 통해서 민정수석 비서관에게까지 문건으로 보고되었으면, 이 문건은 청와대의 문건으로 보는 것이 맞다. 대단히 중요한 사실이다”며 “보도된 기사 내용만 봐도 권력의 사유화의 흔적이 매우 많다. 집약하면 대통령과 비서실장 그리고 수석비서관 체제로 되어있는 청와대 최고 콘트롤 타워의 계선조직이 와해됐을 가능성을 배제하지 못한다”고 꼬집었다.
이어, “우리 헌법과 법률이 전혀 원치 않고, 허락하지 않고, 국민이 용인하지 않는 것”이라며 “이것을 줄여서 말하면 쿠데타에 가까운 일이다. 대단히 심각한 일”이라고 우려했다.
박 의원은 “한 언론사와 청와대 사이의 고소니 진위 논쟁이 아니라 이것은 대한민국 국민과 헌정 체제를 위해서도 반드시 그 진상이 규명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진상조사단 구성 배경을 설명했다.
진상조사단에는 김관영, 김광진, 김민기, 이언주, 진성준 의원(가나다 순)에 당 대변인 박수현 의원, 그리고 외부 변호사 전문가 4~5명을 위원으로 위촉할 예정으로 전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