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는 16일 정부의 최저임금 인상 방침과 관련 재계의 손을 들어주는 모습을 보였다.
김 대표는 이날 오후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박용만 상의 회장 및 현정은 현대그룹 회장 등 재계 인사들과 간담회를 가진 후 기자들과 만나 정부의 최저임금 인상 방침과 관련 “기업인들이 임금 문제는 노사 자율에 맡겨야지, 정치권에서 거론할 사항이 아니라며 굉장히 우려를 표했다”고 전하면서 “이에 대해 저희들이 동감했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또 이날 재계에서 건의한 법인세 인상 반대에 대해선 “법인세는 최후의 수단이 돼야한다는 데 대해서도 (재계와) 뜻을 같이 했다”고 전했다.
김 대표는 이어 “지금 전 세계적으로 경제 위기기 때문에 이 위기 속에서 고군분투하는 우리 기업인들의 애로사항을 경청했다”며 “국정에 잘 반영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이날 간담회 모두 발언에선 ‘정치권의 보여주기식 선심성 규제 남발로 기업들의 투자 의욕을 저해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 대표는 “우리 경제가 많이 어려운데 무엇보다 걱정되는 것이 가계와 기업 등 경제 주체들이 여러 규제와 제도 미흡으로 투자 열정을 잃어가고 있는 것”이라고 우려했다.
또한 “경제가 이런데도 정치권은 규제개혁을 한다면서 실적 쌓기와 보여주기식 입법을 남발해 오히려 새로운 규제를 만드는 행태를 적지않게 보인다”고 지적했다.
김 대표는 “지난해에는 세수가 무려 11조원 가량 덜 걷힐 만큼 경기가 좋지 않고 기업 경영 환경이 악화된 상황”이라며 “그럼에도 기업의 힘든 사정은 생각하지 않고 정치권을 중심으로 기업소득환류세를 신설하고 법인세 인상과 임금 인상을 압박하는 것에 속이 많이 상하리라 생각한다”고 위로하기도 했다.
특히, 정부와 정치권을 향해선 “기업이 진정 원하는 것은 정치권과 정부가 규제를 풀어 경영환경을 개선하고 연구개발과 설비투자를 활성화하도록 제반여건을 잘 만들어주는 것”이라며 “정치권과 정부가 표를 의식한 선심 경쟁에 나서며 이처럼 기업이 원하는 바와 어긋나는 말과 행동을 보인 경우가 많다”며 쓴소리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