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대통령, 내일 中·日 외교장관 접견
朴대통령, 내일 中·日 외교장관 접견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드·AIIB·日 과거사 인식 문제 등 도마 위에 오를 듯
▲ 박근혜 대통령은 오는 21일 예정된 한·중·일 외교장관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방한하는 중·일 외교장관을 직접 접견한다. ⓒ뉴시스

동북아 지역 최대의 외교안보 현안인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 등과 관련, 박근혜 대통령이 드디어 움직인다.

박 대통령은 오는 21일 예정된 한·중·일 외교장관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방한하는 중·일 외교장관을 직접 접견한다.

박 대통령은 청와대에서 왕이(王毅) 중국 외교부장과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외무상을 윤병세 외교장관과 함께 만난다. 이는 당초 예정되지 않았던 박 대통령의 일정이다.

사드·AIIB 이슈가 급박하게 돌아가고 있는 상황을 감안해 전격 결정된 걸로 보인다.

센카쿠(중국명 다오위다오)’ 영유권 문제로 중일 관계가 악화된 탓에 3년 만에 가동되는 한중일 외교장관 회담은 3국 협력 현황과 발전방향을 평가하며 지역 정세 등에 대해 의견을 나누는 자리다.

현재 사드·AIIB 등이 의제로 올라 있지 않다는 게 우리 외교 당국의 설명이다. 하지만 동북아 역학 관계의 핵심 이슈인 만큼 이에 대한 각국의 의견 제시는 자연스럽게 이뤄질 수 있다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또한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해서도 의견 개진이 있을 것이라는 주장도 나온다. 일본과는 과거사 인식문제가 대화 테이블에 오를 것으로 예상되는데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한 전향적인 조치를 촉구할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박 대통령이 중·일 외교장관을 직접 만나기로 전격 결정한 것은 급박하게 돌아가는 동북아 안보상황에서 한·중·일 3국이 불편한 관계를 지속할 수 없다는 위기의식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한편, 박 대통령은 중국·일본 외교장관 접견 이후 오는 26일에는 한미 합참의장 회담을 위해 한국을 찾는 마틴 뎀프시 미국 합참의장도 만날 것으로 알려졌다. 이 자리에선 사드의 한반도 배치 문제에 대한 의견 개진이 이뤄질지 관심이 모아진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