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보보호 서비스 정상화는 댓가 지불해야 성장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됐다. 미래부는 ICT정책 해우소 정책간담회를 개최했다. 정보보호 서비스 대가 정상화, 정보보호 연구개발 확대, 정보보호 해외진출 등이 논의됐다.
5일 미래창조과학부에 따르면, 지난 3일 서울 서초구에 위치한 KISA아카데미에서 미래부, 정보보호 관련 교수, 연구기관. 주요 정보보호업체 CEO 등 19명이 참석해 'ICT정책 해우소 정책간담회'를 개최했다.
이 간담회에서 정보보호 서비스 대가 정상화에 대해 논의했다.
사이버보안 강국을 위해서는 정보보호산업이 뒷받침돼야 하는데 이를 위한 첫걸음은 정보보호 서비스의 정당한 대가를 인정하는 것.
정보보호 서비스는 일반SW와 달리 해킹이나 악성코드 감염 등 외부요인에 대한 지속적인 조치가 필요하다는 점을 알리고, 정보보호 서비스 대가 정상화를 통해 보안업체 수익 증대→우수 인력 유입 증가→기술 경쟁력 향상→산업성장으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또한 정보보호 연구개발 확대의 필요성이 제기됐다.
국가 방위산업이자 고성장산업인 정보보호산업 육성하기 위해서 연구개발 예산을 대폭 확대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산업계에서 필요로 하는 원천기술은 정부 연구과제로 추진하고, 공동연구나 기술이전 등을 통해 산업계로 적극 이전할 필요가 있다.
글로벌 경쟁력 확보가 필요한 기술분야는 플래그쉽 프로젝트 등 국가차원의 대형 및 중장기 연구개발 과제로 추진이 필요하다.
거기에 정보보호 특성상 보안전공자 뿐만 아니라 전산, 통신, 심지어는 심리학자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가 참여하는 오케스트라와 같은 형태의 융합형 R&D 추진도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그외 정보보호 해외진출 확대를 위해 외국어 구사 인력육성, 해당 국가의 문화에 대한 이해 등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 시사포커스 / 박효길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