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기준 해양수산부 장관이 세월호 인양 여부를 결정할 여론 수렴의 구체적인 방식과 관련, 여론조사를 제시하자 여당내에서 반대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유 장관은 지나 2일 ‘조선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세월호 인양 여부는 공론과 과정을 통해서 나타난 국민 여론을 겸허히 수용해서 결정하는 방식이 될 것”이라며 “여론조사가 가장 합리적인 방식”이라고 말했다.
조선일보 보도에 따르면 유 장관은 “현재로서 가장 합리적인 공론화 방식은 여론조사로 볼 수 있다”며 “여론조사는 (인양 여부에 대한 질문에 앞서) 작업 기간은 얼마나 걸리고, 이제까지 들어간 비용은 얼마이고 앞으로 들어갈 비용이 얼마라는 것들을 다 알린 뒤 의견을 들어보는 절차를 거쳐야 되지 않을까 싶다”고 말했다.
다만 “여론조사만 갖고 결정하기보다는 다른 방식의 여론 수렴도 병행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이달 중으로 민간 전문가 중심의 기술 검토 TF(태스크포스)가 세월호 인양이 기술적으로 가능한지 여부에 대한 검토 결과를 밝힐 것”이라고 했다.
이 같은 유 장관의 발언이 알려지자 당내에선 반대 목소리가 나왔다. 김무성 대표는 6일 4·29 재선거 지역구인 인천 강화군에서 현장 최고위원회를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나 유 장관의 세월호 인양 여론조사 발언에 대해선 “세월호 인양을 국민의 여론조사로 결정한다는 것은 옳지 못한 일”이라고 비판했다.
김 대표는 또 “세월호는 인양돼야 한다”며 “제가 알기로는 세월호 인양은 국내 기술로 충분히 가능한 일”이라고 말했다.
유승민 원내대표 역시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유 장관의 여론조사 발언에 대해 “정부가 중요한 판단을 할 때 여론조사를 참고할 수는 있는데, 여론조사로 결정한다는 건 차원이 완전히 다른 문제”라고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유 원내대표는 “세월호 인양 같은 문제를 여론조사로 결정한다는 것은 저는 좀 무책임하다고 본다”고 지적했다.
유 원내대표는 또 박근혜 대통령이 이날 청와대에서 수석비서관 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기술적으로 가능하면 세월호 인양을 적극 검토하겠다’고 말한 점을 언급하면서 “박 대통령의 말을 뜯어보고 이병기 비서실장과 통화를 했다”며 “세월호 인양에 대한 여론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고, 그 분(대통령)의 말씀 습관을 보면 굉장히 세월호 인양에 긍정적인 청신호를 보인 것”이라고 했다.
유 원내대표는 “새누리당 일부 소수 의원들이 (인양 반대 의견으로) 여러가지 이유를 말할 수 있지만, 김무성 대표나 제가 검토한 바로는 이것은 돈 문제가 아니다”며 “마지막 실종자를 찾기로 약속했기 때문에 이 문제를 마무리 짓고 한 단계 더 나아가기 위해 세월호를 인양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