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지원 “6:4지분 발언, 함께 움직여야 된다는 원칙론”
박지원 “6:4지분 발언, 함께 움직여야 된다는 원칙론”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제는 밀실·정치 국민들로부터 많은 비판 받아 있을 수 없다”
▲ 새정치민주연합 박지원 의원은 권노갑 상임고문의 ‘6:4 지분’ 발언과 관련해 모든 세력이 함께 움직여야 된다는 원칙론에서 한 얘기라고 설명했다. 사진 / 홍금표 기자

권노갑 고문의 이른바 주류 대 비주류 6:4지분 발언을 두고 새청지민주연합내 ‘지분 챙기기’ 갈등이 불거진 가운데, 이에 대해 박지원 의원은 “(권 고문이) 당이 일방적으로 어떤 세력에 의거해서 움직이는 것보다는 모든 세력이 함께 움직여야 된다 하는 원칙론에서 한 얘기”라고 밝혔다.

박지원 의원은 이날 MBC라디오 <신동호의 시선집중>과의 인터뷰에서 “그러한 것은 당직 인선에 비주류도 참여시켜서 당이 화합적으로 나갈 수 있도록 당대표가 배려해야 한다, 이런 말”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권노갑 고문을 만나서 여쭤보니까 과거에 그랬다, 관행이었다, 이런 말씀을 듣고 저도 오해를 풀었다”고 덧붙였다.

당천이나 공천의 6:4 비율이 결국 ‘지분 챙기기’라는 비난에 대해서는 “그렇진 않다. 우리 정치가 세월이 얼마나 흘렸나? (이기택 총재 시절) 그때만 해도 20년 전”이라며 “지금은 계파정치 그러한 것을 반대해 오픈프라이머리, 당내 경선을 하고 있다. 소위 3김 시대처럼 공천을 그냥 임명한 (시절이 아니다)”고 반박했다.

박 의원은 그러면서 “지금은 우리 국민들이 계파정치를 가장 비난하고 또 그러한 것을 반대하고 있다”면서 “이제는 오픈프라이머리, 당내 경선을 하고 있는데 어떠한 경우에도 그렇게 그 소위 3김 시대는 그냥 공천을 임명했다. 그게 꼭 나쁘다는 건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 “그렇게 했기 때문에 지분도 가능했지만 이제는 모든 공직후보는 국민과 당원이 결정하게 되기 때문에 그러한 것은 일어날 수가 없다. 세상이 바뀌어서 그런 밀실정치나 야합정치를 한다고 하면 국민들로부터 많은 비판을 받아서 있을 수 없다”고 강조했다.

현재 당직 배분과 관련해선 “문재인 대표가 우선 친노를 형식적으로 배제를 시키고 친노가 아닌 그러한 인사들로 탕평인사를 했다고 주장을 하고 있고 또 솔직히 저희들이 볼 때는 이 문제에 대해서 섭섭하게 생각하는 게 있다”면서 “최고위원 추천이나 이러한 문제를 저하고 전혀 협의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그렇게 어떻게 다 당직을 임명할 수 있느냐”는 불만을 나타내기도 했다.

다만 그는 “이런 문제를 했더니 문재인 대표가 우리가 소통이 잘 안 됐다고 하더라. 그래서 그러한 것으로 문재인 대표도 풀렸고 저도 그런 설명을 듣고 저도 이해를 했다”며 “어떤 지분을 당직을 6:4, 이렇게 기계적으로 분리하는 것은 없다. 새누리당만 보더라도 친박, 반박 해서 이렇게 엮어나가고 있지 않은가”라고 말했다.

추미애 최고위원이 문 대표에 대해 대북송금특검에 대해 사과해야 된다고 한 것에 대해서는 “제가 경선과정에서 문재인 대표에게 제가 대북송금 제1차 피해자이기 때문에 사과를 해야 된다고 이런 요구를 한 적이 있다”면서 “그러나 지금은 경선 그러한 과정도 아니고 제일 중요한 4.29 재보궐 선거가 이제 겨우 2주 남았습니다. 그래서 선거를 목전에 두고 당내에 오해의 소지, 또는 분규의 소지가 있는 것은 말씀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답했다.

또한 박 의원은 재보선 광주서을에서 새누리당 이정현 최고위원이 새정치연합을 겨냥한 비관적 판세와 관련해 “우리 박지원이 동교동계가 호남민심을 움직일 수 있다 이러한 것은 지극히 겸손하지 못하고 건방진 얘기”라면서 “문재인 대표에게 선거 때만 호남에 가서 표 달라고 하지 말고 선거 끝나면 팽 시키지 말고 진실성 있게 접근을 하자, 그리고 좀 호남인들의 마음을 달래주자”고  문 대표와 약속했다고 전했다.

아울러 그는 “우리 새정치민주연합은 호남만 가지고도 선거에 승리할 수 없지만 호남을 빼고도 승리할 수 없는 숙명적 관계다”라고 강조했다. [시사포커스 / 김지혜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