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홈플러스가 고객정보 장사에 이어 협력업체 단가 압박 혐의로 공정위 조사를 받고 있는 가운데, 이번에는 국부유출 논란에 휩싸였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현재 홈플러스의 매출대비 영업이익은 업계 최저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해 홈플러스의 매출은 10조1110억원, 영업이익 3336억원으로 집계돼 매출 대비 영업이익률은 3.3%로 나타났다. 2011년 6.4% 수준이었던 점을 감안하면 3년 만에 48.4% 감소한 수준이다.
지난해 대형마트인 이마트의 영업이익률이 6.1%, 롯데마트 3.7%로 나타났던 점을 토대로 할 때 홈플러스의 수익성은 업계에서 가장 낮다.
여기에 지난달 도성환 홈플러스 사장이 기자간담회에서 “자체 마진 1400억원을 줄여 2450가지의 신선식품과 가공식품, 생필품 가격을 연중 상시 10~30% 저렴하게 팔 것”이라고 선언한 것을 고려하면 수익성은 더 나빠질 것으로 전망된다.
도 사장의 말을 반영하면, 이번년도 영업이익 감소폭은 지난해 영업이익 3336억원 기준에 자체마진 축소분 1400억원을 뺀 값인 1936억원으로 예상되고, 영업이익률은 올해 매출이 지난해와 같다는 가정하에 1.91%대로 떨어질 것으로 보인다.
홈플러스가 신선식품과 생필품 상시할인을 선언하면서 전체 영업이익률이 하락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한 상황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모기업인 영국 유통업체 테스코에 지불하는 로열티는 9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돼 국부유출 논란이 일고 있다.
홈플러스는 2013년부터 기존 로열티(대출대비 0.05%) 보다 증가한 수준(0.86%)을 테스코에 지급했다. 2009년 38억원(매출대비 0.05%), 2010년 42억원(0.05%), 2011년 44억원(0.05%), 2013년 748억원(0.86%) 이다.
홈플러스는 올해도 지난해와 같은 수준인 매출의 0.86%를 테스코에 로열티로 지급한다는 입장이다. 지난해 매출을 기준으로 할 때 홈플러스는 올해 테스코에 870억여원을 로열티로 지불하게 된다.[시사포커스 / 진민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