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너진 친박, 與 ‘이완구 사퇴론’ 확산
무너진 친박, 與 ‘이완구 사퇴론’ 확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친박계 침묵 속 비박계 사퇴 요구 분출
▲ 새누리당 내에서조차 비박계와 친이계를 중심으로 이완구 국무총리 사퇴론이 확산되고 있다. 하지만, 친박계가 대거 성완종 리스트에 올라 있는 상황이라 내부적으로 이 총리 사퇴론을 막아내지 못하고 있는 모습이다. 사진 / 유용준 기자

故 성완종 전 경남기업 회장으로부터 돈을 받았다는 의혹에 휩싸인 이완구 국무총리 거취 문제를 두고 새누리당이 내부적으로 복잡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친이계와 비박계를 중심으로 이완구 총리 사퇴 요구가 터져 나오고 있는 가운데, 당 지도부는 쉽사리 이 같은 사퇴론에 편승하지 못하고 있는 분위기다.

리스트에 오르지 않은 일부 친박계 인사들이 이 총리 엄호에 나서는 모습을 보이기는 하지만, 목소리에 힘이 실리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친박계 굵직한 인사들이 대거 리스트에 올라 있는 상황이라 각자 의혹에 대한 결백을 호소하기에 바쁘기 때문이다. 이완구 총리 사퇴 문제를 놓고 친박계가 친이-비박계와 다투고 갈등을 겪을 만한 상황도 못되고 있다는 뜻이다. 친박계 제 코가 석자인 탓이다.

일단 상황을 지켜보자는 지도부 또한 언제까지 방어막을 치고 있을 수만은 없는 상황이어서 곤혹스러움이 커지고 있는 분위기다.

◆지도부, 언제까지 막아줄 수 있을지…
15일, 김무성 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중진연석회의에서 “검찰 수사로도 국민적 의혹이 해소되지 않는다면 우리 새누리당이 먼저 나서서 특검을 요구하겠다”면서도 “지금은 우리 경제가 앞으로 나아가느냐 그렇지 못하느냐가 좌우되는 매우 중대한 시기”라고 말했다.

김 대표는 그러면서 “야당이 총리와 비서실장에게 스스로의 거취를 결정하라며 정치공세를 펼치고 있는데, 국정에 막중한 책임을 지는 자리인 만큼 신중하게 결정해야 할 일”이라고 사퇴론에 조심스러운 입장을 밝혔다.

김 대표는 이어, “이번 사건이 정쟁으로 흐르지 않길 바란다며 국정운영에 한 축을 담당하고 있는 제1야당으로서 너무 지나친 발언인 만큼 자제를 부탁드린다”고 당부하기도 했다. 이 총리 사퇴론을 막아주고 있기는 하지만, 발언에 힘이 실리지는 않는 분위기다.

박근혜 대통령 복심으로 통하는 이정현 최고위원은 달랐다. 친박계 핵심이지만, 성완종 리스트에 오르지 않은 그는 김무성 대표보다 적극적으로 이완구 총리 엄호에 나서는 모습을 보였다.

이 최고위원은 전날(14일) 국회 대정부질문에서 이완구 총리를 불러놓고 답변은 듣지 않은 채 “총리님 저는 지금 상황이 하늘이 준 기회라고 생각한다”며 “정치의 부패 뿌리를 뽑기 위해서라도 또 모든 국민이 납득할 때까지 끝까지 가야 한다. 특검이 됐든 어떤 상황을 가정한다 해도 끝까지 가야한다”고 강조했다.

이 최고위원은 특히, “이번 사건에서 또 한 가지 확인한 게 있다”면서 “한 정부는 로비가 잘 통했던 정권, 또 다른 정부는 로비가 전혀 통하지 않는 정권. 이 극명한 차이를 우리 국민들이 목도하고 있다”고 말하기도 했다. 성완종 전 회장이 박근혜 정부 핵심 인사들에 로비를 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자 목숨까지 끊게 됐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정권의 핵심 실세들이 줄줄이 부정부패 의혹에 휩싸여 있는 상황에 이 최고위원은 도리어 ‘로비가 통하지 않는 정권’이라고 감싸기를 한 것이다.

◆비박계 “이완구 스스로 결단하라”
하지만, 비박계나 친이계의 입장은 달랐다. 친이계 좌장 이재오 의원은 15일 최고중진연석회의에서 “내일 대통령이 외국으로 출국하시는데 대통령이 없는 동안에 직무를 대행할 사람이 있어야 한다”며 “직무를 대행할 사람이 총리인데 총리가 부패로 수사를 받느냐 마느냐 하는데 그 총리가 대통령 직무대행을 할 수 있겠냐”고 우려했다.

이 의원은 그러면서 “총리는 사실 여부를 떠나 그것은 검찰에서 밝히면 되는 것이고, 정치적으로 국정에 막중한 책임이 있다고 한다면 총리 스스로 물러나야 한다”고 사퇴를 촉구했다. 이 의원은 이어, “이 정부 부총리가 두 명이나 되지 않냐”며 “부총리가 총리 업무를 대행하면 된다. 그리고 대통령이 외국 가시기 전에 부담을 줄여주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문수 보수혁신위원장도 이날 오전 라디오방송 인터뷰에서 “국민들의 염려가 있지만, 1백만 공무원의 최고수장으로서 본인이 진퇴에 대한 결심을 내려야 한다”고 말했다.

김문수 위원장은 “공직은 그야말로 위계질서에 의한 직이다. 총리나 장관부터 이렇게 쭉 급수에 따라 위에서부터 밑으로 물이 흐르듯 일사분란하게 국민을 위해 봉사하는 조직인데, 최정점에 계시는 분이 이런 상태에서는 공직이 움직여질 수 없다”며 “도덕성과 실제 공직의 여러 작동원리로 봐서 작동불능 상태로 갔다고 본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김용태 의원도 이날 오전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이완구 국무총리는 명명백백한 진실 규명을 위해 국무총리 직을 사퇴해야 한다”며 “박근혜 대통령은 검찰의 완벽한 독립 조사를 위해 대통령 비서실장과 민정수석의 직무를 정지시켜야 한다”고 촉구하고 나섰다.

김 의원은 거듭 “이완구 총리 본인도 진실을 원하고 있을 것이다. 국무총리라는 자리가 국정에 얼마나 중요한 지 잘 알고 있다”며 “그러나 국민의 믿음을 다시 세우는 것보다는 못하다. 검찰이 명명백백하게 진실을 밝힐 수 있도록 이 총리가 결단해 주시기 바란다”고 거듭 촉구했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