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범훈-중앙대-박용성’ 커넥션, 꼬리 밟히나
‘박범훈-중앙대-박용성’ 커넥션, 꼬리 밟히나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검찰, 박범훈 전 수석 소환 조사…직권남용·횡령·뇌물수수 혐의 적용 가능성
▲ 박범훈 전 청와대 교육문화수석이 검찰에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돼 조사를 받고 있다. 사진 / 홍금표 기자

청와대 재직 시절 중앙대에 특혜를 주기 위해 교육부에 압력을 넣은 의혹을 받고 있는 박범훈(67) 전 청와대 교육문화수석이 30일 검찰에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돼 조사를 받고 있다. 이에 박범훈-중앙대-박용성’으로 이어지는 고리가 수면 위로 드러날지 여부에 관심이 모아졌다.

이날 서울중앙지검 특수4부(배종혁 부장검사)는 이같이 밝히고, 박범훈 전 수석과 박용성 전 두산그룹 회장 사이에 금품 거래가 있었는지를 집중 추궁할 것이라고 전했다. 현재, 검찰은 박 전 두산 회장으로부터 박 전 수석이 금품을 상납 받은 정황 일부를 포착했고, 이번 조사를 통해 최종 확인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박 전 수석은 지난 2011~2012년 중앙대가 서울 캠퍼스와 안성 캠퍼스의 통합을 추진할 당시 교육부에 단일교지를 승인하도록 외압을 넣은 혐의를 받고 있다. 박 전 수석은 2011년 2월 청와대 교육문화수석비서관으로 임용됐는데 임용 한 달 만인 2011년 3월 교육부는 그간 금지사항으로 규정했던 사립대학의 본‧분교 통합 허용 개정안을 입법예고 했다. 당초 중앙대 본교와 분교 간 통합은 법적 근거가 없었지만, 교육부가 관련규정을 개정하면서 통합이 가능해졌다.

또 박 전 수석은 중앙대가 적십자학원을 인수하는 과정에서도 교육부에 압력을 넣은 혐의를 받고 있다. 현재 검찰은 중앙대가 본교와 분교를 통합하고 적십자학원을 인수했던 시기, 재단에 후원금이 들어온 시기가 겹치는지 등을 확인하며 박 전 수석과 박 전 회장 사이에 거래가 오고 갔는지를 살피고 있다.

검찰은 박 전 수석이 횡령을 저지른 정황에 대해서도 조사 중이다. 박 전 수석은 2008년 중앙대 총장 재직 당시 국악연수원을 지으라며 자신의 소유였던 경기도 양평 땅을 모 예술협회에 기부했다. 양평군은 이 땅에 건축비 9억 5000만 원을 무상으로 지원했다. 2009년 연수원은 완공됐고, 기부한 땅과 양평군이 건축비를 지원한 건물의 소유권은 모 예술협회에서 반 전 수석이 이사장으로 있는 재단법인 뭇소리로 바뀌었다. 이에 검찰은 양평군이 무상으로 지원한 건축비 등을 박 전 총장이 취했을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조사를 벌이고 있다.

또한 검찰은 우리은행이 중앙대와 주거래 은행 계약을 연장하면서 기부한 돈을 학교 관계자들이 유용한 정황을 포착하고 여기에 박 전 수석이 개입했는지를 두고 관련 사항을 집중 수사하고 있다.

한편, 검찰은 박 전 수석에 대한 조사를 마무리한 뒤 직권남용·횡령·뇌물수수 등의 혐의로 사전구속영장을 청구하는 방안을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다.[시사포커스 / 진민경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