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찰이 성진지오텍 회장 시절 포스코에 회사를 넘기는 과정에서 이명박 정권 실세들과의 유착을 의심받고 있는 전정도 세화엠피 회장의 자택과 관련사를 압수수색했다.
8일 검찰에 따르면 서울중앙지방검찰청 특별수사2부(부장 조상준)은 전날 전정도 회장의 자택과 세화엠피, 유영E&L, 문수중기 등 관련업체 3~4곳을 압수수색했다. 이날 검찰은 수사관들을 파견해 회계 자료와 개인 서류, 컴퓨터 하드디스크 등을 확보했다. 검찰은 전정도 전 회장의 혐의가 업무상 배임과 횡령이라고 설명했다.
전정도 회장은 최근 포스코플랜텍의 공사대금 1000억원의 대부분을 유용한 혐의를 받고 있다. 포스코플랜텍은 2010~2012년 이란석유공사로부터 받은 석유 플랜트 공사대금 1000억여원을 미국의 경제 제재 전후인 상황 탓에 국내에 들여오지 못하고 이란에 보관중이었는데, 이를 전정도 회장이 세화엠피의 현지법인 은행 계좌에 넣어 보관하다 사적으로 유용했다는 혐의다. 아울러 전정도 회장은 세화엠피의 자금 수십억원을 횡령했다는 의심도 받고 있다.
검찰은 이번 압수수색을 계기로 이명박 정부 시절 포스코가 부실에 시달리던 성진지오텍을 인수하는 과정에서 정권 실세가 개입했다는 의혹에 대해서도 조사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포스코 비리’의 한 축인 전정도 회장을 통해 정준양 전 회장과 이명박 정부의 실세들에게까지 칼날을 켜눌 것이라는 전망이다.
또한 검찰은 이날 하청업체에서 수억 원의 금품을 받은 혐의로 포스코건설 박모 상무의 사전구속영장을 청구했다.
검찰 관계자는 최근 “이번 수사는 국민기업인 포스코에 대한 ‘비정상의 정상화’가 목표”라고 말했다.
한편 전정도 회장은 정준양 전 포스코 회장을 비롯, 이명박 정부 주요 실세들과 친분이 두터운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부채 비율이 1600%를 넘던 성진지오텍을 포스코에 시세의 두 배인 1600억원에 매각하는 과정에 대한 수사도 결국은 이명박 정부의 실세들로 연결될 것이라고 보이는 이유다.
성진지오텍을 합병한 이후 우량기업이던 포스코플랜텍은 4년 연속 적자에 시달리고 있다. 검찰이 전정도 회장과 전(前) 정권 인사들의 유착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으면서 포스코그룹에 대한 사정 작업은 전방위로 확대되는 모양새다. 검찰 관계자는 “옛 성진지오텍 수사는 포스코그룹 비리 수사의 또 다른 본류”라며 “포스코 수사 폭이 좀더 넓어진 차원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시사포커스 / 김종백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