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정치민주연합이 최근 계파갈등으로 내홍이 확대되고 있는 가운데, 새정치연합 정대철 상임고문은 11일 정청래 최고위원의 “사퇴 공갈” 발언에 대해 “정치의 품격은 고사하고, 공당 지도부의 언행이라고는 믿기지가 않을 정도로 천박했다”고 비판했다.
정대철 상임고문은 이날 YTN라디오 ‘신율의 출발 새아침’과의 인터뷰에서 “더 큰 문제는 이렇게 싸가지가 없고, 무질서한 정당이라는 이미지를 덧씌우게 되는 정청래식 정치에 대한 아무런 자정 기능이 작용하지 않는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김한길, 안철수, 박지원 이석현 의원 등 당 중진들이 모여서 당을 어떤 방향으로 끌고 나갈 것인지, 개혁하는 데에 정치인들이 앞장서야 된다“고 강조했다.
정 상임고문은 당내 친노 계파의 패권주의와 관련해 “소위 사람들이 이야기하는 특정 계파의 패권주의가 당을 지배하고 있어서, 이것마저 고쳐가지 못하고 있지 않나 하는 걱정과 우려를 하는 것이 많이 들린다”고 우려했다.
그는 “사실은 지금 친노의 절반 이상은 노무현 대통령과 관련이 없는 사람이다. 친노라는 표현 보다는 운동권적 강경파, 도덕적 우월감에 빠진 진영논리에 묻혀 있는 사람들(이 맞다)”이라면서 “친노라는 표현은 별로 적당한 표현이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또한 정 상임고문은 한명숙 전 대표의 공천으로 인해 균형이 깨졌다고 주장하면서 “운동권도 좀 필요하겠습니다만 상당부분 그쪽으로 가서 당이 상당히 강경 운동권적 노선으로 갈 수 밖에 없는 그런 상황이 대단히 걱정이다”라고 덧붙였다.
문재인 대표의 사퇴와 관련해서는 “정치는 결과책임”이라면서 “뭔가 새로운 각오로, 진짜 그런 모습으로 태어나기 위해서는 바뀌어야 하고, 그렇기 위해서는 이번에도 그냥 유야무야 넘어가면 별로 이롭지 않다”고 밝혔다.
그는 호남신당론에 대해 “김대중 대통령도 정권 재창출을 위해서 정당을 여러 개 만들었다”며 “고쳐나가다가 잘 안 되고, 국민적 이미지가 곤란하고, 그러면 신당을 만들어서 포용할 수 있는 부분은 포용하고 가야 한다는 것이 저의 지론이고, 김대중 대통령도 그랬던 것으로 보여진다”고 설명했다.
이어 “새정치민주연합을 고쳐가다가, 안 되는 경우에는 신당을 만들어서 대비해야 한다”면서 “이게 만약에 분열적 신당으로 나가서, 새누리당하고 대결한다면 그건 필패다. 선거 전에는 다시 연대 내지는 통합까지를 전제로 한 신당으로 가야지, 이게 분열로 가면 문제가 된다는 것을 기본적으로 깔고 있다”고 거듭 주장했다. [시사포커스 / 김지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