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기관 투자자 오히려 줄어

아모레퍼시픽이 액면분할로 몸집을 줄이자 개인투자자의 거래 비중이 두 배로 뛰었다. 300만원대의 비싼 몸값 때문에 ‘황제주’로 불리던 아모레퍼시픽의 주식은 그간 외국인과 기관투자가 중심으로 이뤄졌지만 액면분할 후 개인 투자자들의 가세로 ‘제2의 전성기’에 대한 기대감이 높다.
1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아모레퍼시픽이 액면분할 후 변경 상장해 거래를 재개한 지난 8일부터 15일 까지 거래대금에서 개인이 차지하는 비중은 평균 57.5%로 나타났다. 이는 올해 1월 2일부터 액면분할 전 마지막 거래일인 4월 21일까지 개인의 평균 투자 비중인 29.8%의 두 배에 가까운 수준이다.
거래 재개 일주일간 아모레퍼시픽은 개인의 순매수 종목 1위를 기록했다. 해당 기간 개인은 아모레퍼시픽을 1784억7000만원가량을 순매수했다. 액면분할로 진입 장벽이 대폭 낮아지자 개인들이 적극적으로 매수에 가담한 것으로 보인다. 액면가를 10분의 1로 쪼개면서 주가 수준이 그만큼 낮아졌고 주식 물량은 늘어나기 때문이다.
반면 액면분할 전 외국인 투자 비중은 43.6%에 달했던 것에 비해 최근 일주일간 평균 23.8%로 줄어들었다. 같은 기간 기관 투자가의 투자 비중도 25.6%에서 17.6%로 떨어졌다. 외국인과 기관은 ‘전문 투자가들만의 리그’를 선호하는 데다 그동안 주가가 큰 폭으로 올라 차익 실현 욕구도 상승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시사포커스 / 진민경 기자]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