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00만원에 육박하던 주가를 10분의 1로 액면분할한 아모레퍼시픽이 상장 첫 날 거래대금 1위 타이틀을 거머쥐며 뜨거운 복귀전을 치렀다.
지난 8일 아모레퍼시픽은 10분의 1 액면분할 후 첫 복귀전에서 기준가 38만8500만원에서 1만2000원(3.09%) 내린 37만6500원에 거래를 마쳤지만, 거래대금 4180억원으로 시가총액 1위 삼성전자의 2545억원을 압도했다.
이날 아모레퍼시픽은 38만6000원에 장을 시작했지만 장중 한 때 39만1500원까지 올랐다. 하지만 투자자들의 차익실현, 코스피 조정 흐름 등이 영향을 미치며 급락했다. 액면가를 5000원에서 500원으로 분할하기 전인 지난달 21일 종가는 388만4000원이었다.
또한 함께 액면분할한 아모레G도 기준가 16만3000원에서 9000원(5.52%) 내린 15만4000원에 마감했다.
주가는 약세였지만 시장의 관심은 가히 폭발적이었다. 거래대금 1위는 물론 거래량 110만주는 액면분할 전보다 20배 가량 늘어난 수치다. 아모레퍼시픽의 시가총액은 220조원으로 포스코의 227조에 이어 7위를 기록하고 있다.
주로 전문가들은 아모레퍼시픽의 복귀전에서 주가가 하락한 것의 이유를 거래 정지 기간 동안 진행된 코스피 조정 흐름을 꼽고 있다. 아모레퍼시픽이 액면분할에 들어가기 전의 코스피 지수는 2140선이었지만 10거래일간 60p 가까이 빠지며 2080선으로 주저앉았다. LG생활건강 등 화장품 종목들도 10% 가량 주가가 내려갔다.
한 전문가는 “최근 주가가 조정된 화장품 종목들과의 키 맞추기에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교보증권은 “다음주 1분기 실적이 발표되면 주가가 다시 반등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 시사포커스 / 김종백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