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메르스 환자가 현재 15명으로 늘어난 가운데, 여야는 31일 정부의 초기대응 실패 등을 두고 한 목소리로 질타했다.
새누리당 박대출 대변인은 이날 당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초기 대응 실패가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며 “메르스와 관련된 인터넷 유언비어까지 무차별 확산돼 국민들을 불안하게 만들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보건당국은 메르스 감염경로를 철저히 차단하고 방역체제를 전반적으로 재점검해야 한다”며 “독버섯처럼 자라는 인터넷 괴담도 뿌리부터 찾아내 뽑아내야 한다”고 덧붙였다.
새정치민주연합 김영록 수석대변인도 이날 브리핑에서 “매일 늘어가는 발병자들을 보면 보건당국이 대체 무얼 하고 있는 답답하기만 하다”며 “과연 방역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고 있는 것인지 묻지 않을 수가 없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그는 “무사안일한 보건당국의 대처가 피해를 이렇게 확산시켰다는 생각을 지우기 어렵다”며 “보건당국은 초기대응에 실패해 사태를 걷잡을 수 없도록 키우고 접촉사실도 모른 채 의심환자가 중국에 가도록 방치해 국제적 망신을 자초했다”고 비판했다.
아울러 김 수석대변인은 “국민 불안을 해소하는 길은 보건당국이 정확한 정보로 국민의 불안을 잠재우는 동시에 총력을 다해 신속하게 메르스 확산을 차단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같은 당 박수현 원내대변인도 “메르스 괴담이 나오는 것은 국민들이 정부의 대책을 신뢰하지 않기 때문”이라며 “메르스 괴담의 1차적 책임은 정부의 안이한 대처와 초기대응 실패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질타했다.
한편 새누리당과 정부는 1일 국회에서 긴급 당정협의회를 열고 메르스 방역 대책을 논의하기로 했다. 협의회에서는 또 최근 오산 미군기지의 탄저균 반입 사고에 대한 대책도 논의될 예정이다. [시사포커스 / 김지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