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은행, 성진지오텍 수사 본격화에 당혹
산업은행, 성진지오텍 수사 본격화에 당혹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검찰 본점 압수수색…대비 정황 드러나 ‘제 발 저리기’ 빈축
▲ 검찰이 5년 만에 옛 성진지오텍 인수와 관련된 의혹을 본격적으로 파헤치면서 본점이 압수수색당한 산업은행이 당혹스러운 표정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뉴시스

‘포스코 비리’를 수사하고 있는 검찰이 옛 성진지오텍을 포스코플랜텍과 합병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각종 의혹을 본격적으로 파헤치기 시작한 가운데, 기습적인 압수수색을 당한 산업은행의 당혹감이 짙어지고 있다.

5일 서울중앙지방검찰청 특수2부(부장검사 조상준)에 따르면 검찰은 지난 3일 옛 성진지오텍의 주채권은행이던 산업은행 여의도 본점 인수합병실(M&A실)과 미래에셋 자산운용사, 포스코 M&A 업무 담당자 사무실 등을 압수수색해 관련 자료를 확보했다. 2010년 포스코의 성진지오텍 고가 인수 논란과 관련된 산업은행의 혐의를 살피기 위해서로 풀이된다.

특히 당시 검찰이 확보한 자료 중에는 산업은행이 검찰의 포스코 수사 진행상황을 점검하고 로펌에 자문을 구한 서류들도 포함된 것으로 4일 확인되면서 빈축을 사고 있다. 그간 문제가 없다며 의혹을 부인해오던 것과 반대로 뒤에서는 검찰 수사에 대비하고 있었다는 식으로 읽힐 수 있는 대목이다.

검찰 관계자는 “(수사에) 대비한다는 것은 검찰 입장에서 봤을 때 문제가 있다는 반증으로 볼 수 있다”고 평했다. 4일 검찰은 산업은행과 포스코, 미래에셋 관계자를 참고인 신분으로 소환해 조사했다.

산업은행이 옛 성진지오텍과 관련된 부분은 당시 전정도 회장이 소유한 유영금속에 신주인수권(BW) 446만주를 주당 9620원이라는 헐값에 매각한 대목이다. 포스코가 옛 성진지오텍을 인수하기 직전이라는 점에서 주가 상승이 예상되는 시점에 시세보다 싼 가격으로 전정도 회장(現 세화엠피 회장)에게 지분을 넘긴 셈이다.

앞서 2008년 산업은행은 옛 성진지오텍이 키코(KIKO) 사태로 경영난에 처하자 200억원 규모의 신주인수권을 인수하는 방식으로 지원한 바 있다.

감사원은 산업은행이 이 매각으로 최대 69억원의 손해를 봤다고 지적하고 관련 직원들 역시 징계를 받았다.

당시 전정도 회장은 헐값 인수 직후인 6일 뒤 440만주를 두 배에 가까운 1만6000원에 포스코에 넘겼다. 전정도 회장이 챙긴 차익은 무려 350억원에 달한다. 같은 날 미래에셋 역시 옛 성진지오텍 주식 794만주를 주당 1만1000원에 포스코에 팔았다. 당시 부채 비율이 1600%를 넘어가는 등 만성 적자에 시달리던 옛 성진지오텍의 주가는 8270원에 불과했다.

검찰은 포스코가 옛 성진지오텍을 인수하는 과정에서 이명박 정부의 실세들 및 정준양 당시 포스코 회장이 개입한 것으로 의심하고 있다. 특히 국책은행인 산업은행의 성격상 신주인수권을 매각하는 과정에서도 이명박 정권의 실세가 개입한 것 아니냐는 의혹이 강하게 제기되고 있는 상태다.

한편 포스코 역시 부실 기업이던 옛 성진지오텍을 고가에 인수해 알짜 기업이던 포스코플랜텍과 합병시켜 부실을 초래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그룹 차원의 수 천억원 대 지원에도 회생하지 못하고 있는 포스코플랜텍은 최근 워크아웃 개시 결정으로 법정관리는 겨우 면하게 됐다. 아울러 전정도 회장은 포스코플랜텍의 이란 공사대금 수백억원을 유용한 혐의로 구속된 상태다. [ 시사포커스 / 김종백 기자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