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 지자체에 메르스 확진판정 권한 부여키로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대응을 위해 보건복지부와 서울시, 경기도, 충청남도,대전광역시 등 4개 지자체가 중앙정부와 지자체가 실무협의체를 구성하기로 했다.
7일 정부 세종청사에서 복지부와 4개 지자체는 메르스 관련 브리핑을 통해 “중앙과 지자체간의 메르스 확산 차단을 위해서 모든 정보를 공유하고 이를 위해 중앙-지자체간 실무협의체를 즉각 구성하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또한 정부와 지자체는 메르스 의심환자에 대한 유전자 검사로 확진판정을 할 수 있는 권한을 각 지자체 보건환경연구원에 부여키로 했다.
이는 메르스 확산 방지 관련 정부의 독자적해결로 효과적인 대응이 이뤄지지 않아 상호간의 메르스 관련 정보공유와 상호간 역할 분담을 통해 실무적 대책 전반을 협의하기 위해서다.
이날 브리핑에서 문형표 복지부 장관은 그간 메르스관련 정책 핵심이던 밀접 접촉자에 대한 추적관리만으로는 한계가 있음을 인정하면서 “그동안 의료기관 공개를 하지 않은 이유는 환자의 병원기피, 의료계의 진료기피, 병원이 위치한 지역사회의 혼란, 지역경제의 침체 등 여러 부작용이 우려됐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문 장관은 또한 “오늘 공개한 24개 의료기관 중 확진 환자가 1명만 발생했거나 환자가 경유만 한 18개 의료기관은 감염 우려가 없어 걱정할 필요가 없다”며 “하지만 경기도 평택성모병원, 삼성서울병원, 대전대청병원, 건양대병원을 위험시기에 방문했던 분들은 각 지역 콜센터로 연락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 시사포커스 / 오현지 기자 ]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