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시철도공사가 내부 감사를 진행하면서 김태호 사장을 포함한 전 직원의 사내 전화기 송수신 목록을 조회한 것으로 나타나 시대착오적인 감사방식을 비판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10일 서울시의회 등에 따르면 도시철도공사 감사실은 특정 사안에 대해 지속적으로 민원이 제기됨에 따라 모든 직원의 지난 2~4월 사내 전화 통화 목록을 조회했다. 조회 대상에는 김태호 사장까지도 들어 있던 것으로 알려졌다.
물론 법적으로 보장된 감사업무지만 이 같은 전 직원의 통화목록 조회 방식이 이례적이라는 점에서 과잉 감사 논란이 제기될 태세다.
우형찬 서울시의원은 지난 8일 시정질의에서 “전 직원 통화목록 조회는 1980년대 암울한 독재시대로의 회기”라며 신랄하게 비판했다. 우형찬 의원은 이어 “도시철도공사에서도 사내 전화에 대한 망명이 이뤄지고 건강한 사내 대화가 무력화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박원순 서울시장 역시 관련 사안을 언급하며 “도시철도공사 감사실이 직원 내사 과정에서 다소 무리하고 광범위하게 전화통화목록을 요청하여 제출 받은 바 있다”고 인정하고 “규정에서 정한 범위 내에서 적절하고 효율적인 감사활동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도시철도공사 감사실 측은 어쩔 수 없었다는 입장이다. 도시철도 감사실은 “다수의 직원들이 연루돼 있다는 민원 내용의 진위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어쩔 수 없었다”면서 “지난 2~4월 통화 목록만 조회한 후 관련 내용을 확인하고 폐기했다”고 밝혔다. 감사실은 또한 민원인과 직접 통화한 전화기의 송수신 목록만 확인했을 뿐 통화내용을 조회한 것은 아니다”고 덧붙였다.
도시철도공사 감사실에 따르면 도시철도공사는 업무 특성상 직원의 대다수가 교대근무자로 전화기 1~2대를 놓고 같이 사용하고 있어 불가피하게 전 직원의 통화목록을 조회할 수밖에 없는 상황인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특정 전화기만 지정해 통화목록을 요구하면 해당 직원이 의심을 받는 등 감사결과와 상관없이 해당 직원이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는 판단도 한 몫 한 것으로 알려졌다. [ 시사포커스 / 김종백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