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C의 대가인 휴렛팩커드(HP)가 기업분사를 앞둔 상황에서 노트북 시장 점유율 1위에 복귀했다.
3일 IT 시장조사기관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HP는 올 2분기 세계 노트북 시장에서 라이벌인 레노버를 밀어내고 판매 점유율 21%를 기록하며 정상에 올라섰다.
HP는 노트북 시장 수요 하락세에도 지난 분기보다 10% 가량 판매량을 늘린 것으로 조사됐으며, 지난 1분기 점유율은 레노버(20.4%)보다 야간 못 미친 19.3%로 2위를 기록했다.
이번 노트북 점유율을 조사한 트렌드포스는 “올 하반기로 예정된 기업 분사가 HP 직원들에게 더 열심히 일하도록 동기를 부여했다”면서 “이 모멘텀을 이어간다면 HP는 3분기에도 노트북 시장을 선도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이번 분기에는 유럽에서 노트북 수요가 특히 급감한 것에 따라 레노버가 큰 타격을 받은 것으로 분석됐다. 이번 분기에서 레노버는 판매량이 1분기보다 2.7% 감소해 2위로 물러났다.
한편 HP는 오는 11월 1일 창립 76년 만에 프린터·PC 사업을 하는 HP주식회사와 기업 하드웨어·서비스 사업을 하는 HP엔터프라이즈로 분사될 예정이다. 이러한 결정을 내린 주원인은 PC 시장 위축으로 말미암은 극심한 매출 감소로 분석됐다.
이번 분기의 3위는 견고한 성장세를 보인 델에 돌아갔다. 델은 북미 시장에서 안정적인 판매량을 올리면서 13.4%의 점유율을 기록했다.
이 외에도 오랜만에 신제품을 선사한 애플은 신제품 12인치 맥북에어와 함께 기존 맥북에어와 맥북프로 시리즈 업그레이드 모델도 인기를 끌면서 판매량이 25%나 증가하였다. 이는 1분기보다 두 계단 오른 4위(점유율 10.9%)에 오른 수치다.
한편 삼성전자[005930]는 점유율 1.9%로 1분기와 같은 8위에 머물렀는데 전체적인 노트북 시장 하락세 탓에 판매량은 40.4%나 줄었다.
트렌드포스는 “삼성이 노트북 사업에서는 프리미엄 시장만 노리는 독특한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높은 마진을 내는 제품만 소량 생산하는 전략을 펼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한편, 이 트렌드포스는 MS사의 윈도10 무료 업그레이드 정책이 PC 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은 미칠 수 있으나 크게 해결하기는 어려울 것이며 올해 노트북 시장 규모가 작년보다 5% 정도 줄어든 1억6천800만대 수준에 그칠 것이라고 내다봤다.
트렌드포스 애널리스트 아니타 왕은 “노트북 시장의 주류인 15.6인치 모델에 대해서는 윈도10의 무료 지원이 되지 않기 때문에 라이선스 비용을 고려하면 하반기 노트북 시장에 오히려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이라고 말했다. [시사포커스 / 김유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