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이통사 공고 임박…후보자들 보니
제4이통사 공고 임박…후보자들 보니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KMI, 케이디넷 등에서부터 CJ, 태광 등 대기업들까지 치열
▲ 제4이통사 사업자 모집 공고가 임박함에 따라 통신업계에서는 과연 어떤 사업자들이 관심을 나타내고 있는지에 대해서도 시선을 집중하고 있다. ⓒ미래창조과학부

정부가 네 번째 이동통신 사업자 진입 절차를 변경한 후 첫 모집 공고가 이달 중으로 이뤄질 예정인 가운데, 제4이통사를 희망하는 후보들에 대한 관심들도 커지고 있다.

9일 미래창조과학부에 따르면 신규 기간통신 사업자(제4이통사)를 모집하는 공고가 이달 내로 이뤄질 전망이다. 정부는 지난 5월 제4이통사 진입 절차를 수시 신청에서 연 1회의 정기 신청으로 변경한 바 있다.

미래부는 제4이통사 사업자를 선정할 때 기간통신 역무의 안정적 제공에 필요한 능력(40점), 재정적 능력(25점), 기술적 능력(25점), 이용자보호계획의 적정성(10점) 등을 보겠다고 밝힌 바 있다. 특히 재정적 능력에 대해서 미래부는 서비스의 안정적 제공과 이용자 보호 등을 위해 기본이 되는 능력이라고 보고 이를 최우선적으로 살핀다는 입장이다.

사업자 모집 공고가 임박함에 따라 통신업계에서는 과연 어떤 사업자들이 관심을 나타내고 있는지에 대해서도 시선을 집중하고 있다. 현재 제4이통사 지원 후보들은 재정 확보를 위해 국내 주요 대기업들로 부터 지분투자를 받기 위한 치열한 협상을 진행 중이다.

지원 후보들 중에서는 현재 한국모바일인터넷(KMI)와 우리텔레콤이 의사를 비교적 명확히 표현했다. KMI는 옛 정보통신부 국장 출신인 공종렬 대표가 이끌고 있고, 우리텔레콤은 SK텔레콤 임원 출신인 장윤식 대표를 통해 중소상공인 연합을 내세우고 있다.

여기에 케이티넷 컨소시엄, 퀀텀모바일 등도 꾸준히 문을 두드리고 있고 현대백화점그룹과 CJ그룹, 태광그룹 등 유통·미디어 대기업 계열사들도 제4이통사 진입을 타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통신업계에서는 정부가 제4이동통신에 로밍, 접속료, 주파수 등 면에서 상당히 큰 혜택을 줄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망 구축 비용은 2017년까지 전국민의 25%를 감당하기 위해 1조원 정도로 추산되고 전국망 구축에는 2조원이 들 것으로 추산된다. 여기에 단말기 구입비용과 마케팅 비용도 만만치 않아 대기업들의 참여 없이 중소업체가 독자적으로 참여하는 것은 계란으로 바위치기라는 말도 나오고 있다. [ 시사포커스 / 김종백 기자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