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부 할머니 마음에도 광복이 오기를’…응원 메시지 달기
‘위안부 할머니 마음에도 광복이 오기를’…응원 메시지 달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응원 메시지 적어 할머니 가슴에 달아주는 행사 진행
▲ 서울시는 이미 작고한 세 분의 일본군 위안부 할머니 얼굴 사진과 살아생전 남기신 말씀을 담은 아트월에 시민들이 응원 메시지를 달아주는 행사를 진행한다.ⓒ서울시

“제 인생은 열여섯 꽃다운 나이에 끝났습니다. 그때 일은 말로 다 못해요. 인간 이하의 생활이었기에 생각을 안해야지. 생각하면 답답하고 몸서리쳐집니다. 언젠가는 이 사실을 밝혀야 한다는 맘을 항상 품어왔어요. 꼭 한을 풀고 싶습니다. 내 청춘을 돌려주십시오” - 일본군 위안부 최초 증언자 김학순(1924~1997)

서울시는 하루 속히 ‘위안부 할머니 마음에도 광복이 오기를’ 기원하는 마음으로 12일 서울광장 분수대 쪽에 이미 작고한 세 분의 일본군 위안부 할머니 얼굴 사진과 살아생전 남기신 말씀을 담은 아트월을 아침 7시부터 저녁 10시까지 전시한다.

아트월에는 최초로 위안부 증언을 해 주신 김학순(1924~1997) 할머니, 세계 각국에 증언과 함께 일본정부의 사과를 촉구하는 운동을 벌이다 작고하신 황금주(1929~1997), 강덕경(1922~2013) 할머니 얼굴 사진이 걸린다.

올해는 광복70주년을 맞는 특별한 해이지만, 아직도 일본군 위안부 할머니들에게는 광복이 오지 않았다. 정부에 등록된 위안부 피해자는 238명. 이중 대다수가 일본정부로부터 사죄를 받지 못한 채 생을 마감하고 이제 생존자는 47명만 남았다.

오전 10시부터는 시민들이 ‘노랑나비’ 포스트잇에 위로와 응원 메시지를 적어 아트월에 있는 할머니 가슴에 달아주는 행사도 진행한다.

노랑나비는 일본군 위안부 할머니와 함께 모든 여성들이 차별과 억압, 폭력으로부터 벗어나 자유롭게 날 수 있기를 염원하는 의미를 담았으며, 이날 메시지 달기에 참여하는 시민들에겐 나비 뱃지도 선착순으로 나눠 줄 예정이다.

또 이날 행사 전 과정을 영상으로 담아 ‘내 손안에 서울’ 등 동영상 사이트를 통해 시민 캠페인을 전개하고, 행사 후 아트월은 시민청 지하1층에 8월 31일(월)까지 전시해 시민들이 자유롭게 응원 메시지를 남길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이날 16시 30분부터는 신청사 8층 다목적홀에서 일본군 위안부 할머니와 함께하는 평화콘서트 ‘나비’도 개최된다.

평화콘서트 ‘나비’에서는 위안부 할머니들의 활동상 및 평화메시지 소개, 할머니들의 삶을 닮은 감성적인 샌드아트, 백창우와 굴렁쇠 아이들 공연, 위안부 피해자 문제해결을 위해 시민, 대학생으로 구성된 ‘희망나비’의 공연 및 유공자 표창, 평화 퍼포먼스 등이 진행된다.

황보연 서울시 시민소통기획관은 “우리의 관심과 염원이 모이고 모이면 이뤄지지 않을 일은 없다고 생각한다”며 “특히 올해는 광복 70주년을 기념하는 의미 있는 해로써 할머니들 마음에도 하루 속히 광복이 찾아올 수 있기를 간절히 기대한다”고 말했다. [시사포커스 / 민경천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