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위와 같은 주장…반올림 배제되나

16일 삼성전자는 발병자와 가족의 아픔을 덜어주는 것이 최선이 돼야 한다며 조정위 측에 내달 말까지 추가 조정을 보류해 달라고 요청했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 10일 가족위 측이 추가 조정 일정을 9월 말까지 보류해달라고 요청한 것과 궤를 함께 하는 얘기다.
삼성전자의 이 같은 요청은 엇박자를 내고 있는 반올림과 가족위의 입장에 대해 삼성전자도 입장을 먼저 정리해야 한다는 판단에서인 것으로 보인다.
최근 가족위는 내달 말을 1차 시한으로 해 추가 조정기일 지정 보류를 요청한다고 밝히고 그 기간 동안 삼성전자와 직접 협상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조정위의 권고안에 반발했던 바 있는 삼성전자 역시 가족위 측과 같은 입장인 만큼 가족위의 주장에 화답한 셈이다. 삼성전자는 “가족위의 요청을 존중해 회사의 입장을 정리한 것”이라며 이 같은 분석에 힘을 실었다.
삼성전자는 “조정위의 권고안 발표 후 가족위가 이의를 제기하고 있고 반올림 내부에서조차 다른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고 되짚었다.
지난달 조정위는 삼성전자가 1천억원을 출연해 공익법인을 만들고 시민단체 위주로 공익법인을 운영해 피해자들에 대한 보상과 향후 감시활동 등을 권고하는 조정안을 내놓은 바 있다. 하지만 돈과 의무만 지워진 삼성전자와 빠른 보상을 원하던 가족위, 여기에 반올림 내 유족 대표들까지 공익법인을 통한 보상절차 진행에 일제히 반발하며 여기저기서 파열음이 발생한 바 있다. 누리꾼들까지 가세해 반올림에 대한 비판의 날을 세우고 있는 형국이다.
이로써 조정위와 반올림만이 같은 입장을 취하고 있고 나머지는 모두 반대하는 구도가 형성되고 있어 앞으로도 보상에 난항이 예상된다. 삼성 측은 공익법인 설립 대신 1천억원을 사내기금으로 조성해 신속히 보상하고 협력사 퇴직자까지 자사 퇴직자와 같은 기준으로 보상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 시사포커스 / 김종백 기자 ]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