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경 일변도 울산하청지회, 입장 변화 가능성에 주목

18일 현대차에 따르면 최근 현대차는 정규직 노조와 울산하청지회, 하청업체 대표, 금속노조와 함께 1년여 만에 ‘사내하청 특별협의’를 재개했다. 사내하청 특별협의는 지난 2010년 대법원의 최병승 씨 정규직 인정 판결 이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난 2012년 5월 처음 시작됐다.
특히 전원 정규직화를 주장하며 강경 노선을 이어오던 울산하청지회가 특별협의에 참여키로 하면서 이번 협의 재개의 물꼬가 트였다. 울산하청지회는 지난해 6월 이후 계속 특별혐의에 불참했다. 그 사이 지난해 8월 현대차 사측과 전주·아산하청지회는 2015년까지 4000명을 정규직으로 채용하는 데에 극적으로 합의한 바 있다.
따라서 울산하청지회가 협의에 어떤 방식으로 임할지에 관심이 쏠린다. 그간 울산하청지회는 전주·아산하청지회의 합의안을 폄하하고 비정규직 전원을 정규직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해 왔다.
현대차 측은 지난해 합의안의 범주 내에서 제시안을 내놓을 것으로 보인다. 반면 울산하청지회는 전원 정규직화와 더불어 비정규직 사용금지 노사 합의, 현대차의 대국민 사과 등 6개의 요구안을 고수하고 있어 대립이 예상된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울산하청지회가 처한 특성상 지회가 무리한 요구에서 한 발 물러나 보다 현실적인 방안을 선택할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도 나온다. 울산하청지회는 올해 들어 파업찬반투표의 부결, 집행부의 독단을 비판하는 대자보 게시 등 악재가 잇따라 입지가 크게 좁아진 상태다.
양측은 우선은 1년여 만에 협의가 재개된 데에 대해 의의를 갖고 실무협의를 통해 합의점을 찾은 뒤 본 협의를 개최한다는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 시사포커스 / 김종백 기자 ]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